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역사
역사 이미지
Q.  토번이라는 국가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7세기 초에서 9세기 중엽까지 활동한 티베트왕국 및 티베트인에 대한 당 ·송나라 때의 호칭이라고 합니다. 즉 중국 당나라·송나라 때에, ‘티베트’를 이르던 말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예수님은 실제로 존재했던 사람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경에서는 예수를 인간의 몸을 입고 온 하나님이라고 표현합니다. 하나님의 형상을 입고 이 땅에 온 사람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또한 십자가에 못박혀 죽인 이유는 자신이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라고 말한 것 때문이라고 합니다. 일명 '신성모독죄'로 십자가형에 처해졌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마오리족은 실제로 6.25전쟁에 참전?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록에 따르면 뉴질랜드는 마오리족이 포함된 부대(이들은 바로 주한 영연방군의 일부가 되었다.)가 대한민국을 도와주기 위해 참전했다고 합니다. 뉴질랜드의 파병 연인원은 3,794명이라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칠레에 있는 모아이 석상은 어떤 의미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설에 의하면 이스터 섬에 최초로 도착한 호투 마투아 왕이 사망한 뒤 그를 따르던 부족들이 서로 갈라져 경쟁 관계를 이루던 과정에서 생겨났다고 합니다. 운반에 관련해서는 명확하지 않으나 '카누 사다리 가설, 밧줄 가설'이 있습니다. 이스터섬에 남아 있는 얼굴 모양의 석상으로 섬 전체에 약 887구가 자리합니다. 모아이를 제작한 이유와 방법은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아후 비나푸, 아후 통가리키, 아후 타하이, 아후 아키비, 라노 라라쿠 등의 유적지에서 모아이를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모아이 덕분에 이스터섬은 ‘Rapa Nui National Park’(Rapa Nui: 이스터섬 고유명칭)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1995년 등재되었다고 합니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팔만대장경에 들어 있는 내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대장경이라는 단어는 "석가모니가 일생 동안 설법한 경전과 계율 및 그 내용들에 대해 후대의 사람들이 첨부한 논서, 주석서, 이론서들을 집대성한 불교경전의 총서를 가리키는 말"이라고 합니다. 대장경판은 종이에 불경을 인쇄하기 위해 만들어진 목판이므로, 말하자면 국립도서관 불교 섹션을 인쇄판형과 종이 인쇄본 통째로 넣어놨다고 보면 된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소화기가 차음 발명된건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의 소화기를 발명한 때가 언제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세계 최초의 소화기는 1723년 영국의 화학자 앰브로즈 고드프레이가 발명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현재 종묘에서 아직도 제사를 지내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종묘제례는 1975년 5월 3일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고 합니다. 2001년 5월 18일 종묘제례악과 함께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되어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1975년 종약원은 종묘대제봉향위원회를 구성하였고, 정부에서도 지원하여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전통 제례 의식으로 대제를 봉행하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현재 입고 있는 한복은 언제 때부터 입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복이 기록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사례는 고구려 벽화에서라고 합니다. 그 당시 기본 구조는 상의, 허리띠, 하의, 모자(또는 두건)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후 차츰 변화하여 상의가 짧아지고 허리띠는 고름으로 간소화 되었으며 두건은 다른 형태의 모자로 대체하였다고 합니다. 이후 만주족 복식을 수입하여 만든 마고자와 서양 복식을 수입하여 만든 조끼를 추가하여 지금의 한복 형태가 완성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은 교회가 없다는데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의 범신론적 종교문화가 기독교와는 사뭇 결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일본의 기독교 인구는 전체의 1%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일본 교회의 70%는 평균 예배참석률이 30명도 채 되지 않으며 등록된 성도 수는 그 두 배 정도 됩니다. 서구세력 앞에서 근대화를 통해 일본의 생존과 번영을 꾀하고자 하였던 일본은, 정신은 일본에 바탕을 두고 기술은 서양에서 받아들이고자 하는 화혼양재의 흐름과 신불분리를 통한 신도국교화 등으로, 사실상 종교로서의 기독교가 일본 내에서 정착하기는 어려웠다고 합니다. 더불어 범신론적 일본인들에게 있어서 유일신인 기독교 교리는 쉽게 수긍되지 못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역사적으로 명심보감의 유래와 주요내용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심보감의 유래와 내용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책명의 ‘명심’이란 명륜·명도와 같이 마음을 밝게 한다는 뜻이며, ‘보감’은 보물과 같은 거울로서의 교본이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책의 내용은 계선편 · 천명편· 순명편 등 모두 20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뒷날에 와서 증보편 · 효행편속· 염의편 · 권학편을 증보하여 보강한 것이 있는가 하면, 팔반가 한 편을 보완한 증보판도 보인다고 합니다.
1561571581591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