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문자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류 최초의 문자는 설형문자입니다. 설형문자는 기원전 3100년경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 메소포타미아문명의 수메르지역에 사용된 문자로 그림문자에서 쐐기모양의 획을 가진 문자로 발전했기 때문에 쐐기문자라고도 합니다. 이집트의 상형문자가 인류최초 문자라고 알려져 왔으나 메소포타미아 문명 유적이 발굴되면서 수메르문자가 이집트문자보다 먼저 발명되었다는 증거가 나와 지금은 인류최초의 문자라고 알려져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정월대보름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월은 음력 1월을 가리키는 말로 음력1월 1일부터 음력 1월 15일까지 15일 동안은 중요하게 생각하는 축제일이었다고합니다. 정월대보름은 구정이라 불리는 음력 1월 1일 이후 처음 맞이하는 보름날로 정월대보름으로 불리며 동제에서 유래되었다고합니다. 설날이 집안의 명절이면 정월대보름은 마을의 명절이라고 불렸으며 대보름의 달빛이 어둠, 질병, 재액을 밀어내고 마을 사람들을 재앙으로부터 풀려나 농사가 잘 되는 것을 기원한다고합니다.
음악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디바라는 말이 쓰이게 된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디바의 어원은 이탈리아어입니다. 이탈리아어로 디바는 여신이라는 뜻이며 디바는 옛날 프리마돈나와 비슷한 뜻을 가진 명사였다고합니다. 프리마돈나는 오페라 극에서 중심이 되는 여배우를 뜻하기에 디바라는 단어는 시간이 흘러 현대로 오면서 대중음악에서 탁월한 가창력을 가진 여성가수에게 붙는 최고의 수식어가 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정월 대보름날 부럼깨기 풍습은 언제부터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월대보름의 풍속 중 하나로 1년 동안 무사태평을 기원하고 부스럼이 나지말라는 의미로 행하는 부럼깨기 풍습이 있는데 조선후기에 나온 여러 세시기류나 죽지사류 기록에 그 사례가 획인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오랜 기간 동안 광범위하게 전승되어온 풍습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26일 작성 됨
Q.
탑골공원, 또는 파고다 공원의 이름은 어떻게 생겼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타탑이 있는 마을이라는 뜻애서 이 일대가 탑골 또는 탑동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파고다라는 이름의 유래는 이곳을 공원으로 설계하여 꾸미도록 건의한 영국인 브라운이 탑이 있는 공원이라는 뜻에서 파고다 공원으로 부르도록 건의하였다고하며 백탑이라는 음이 변화하여 파고다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25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왕들의 평균 수명은 몇 살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왕들의 평균 수명은 46세라고 합니다.40을 넘기지 못한 왕도 11명이나 됩니다. 조선시대 왕 중 가장 장수한 왕은 영조로 83세까지 살았다고 합니다. 이에 반해 단종은 17세에 죽음을 맞이한 왕이라고 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25일 작성 됨
Q.
고려시대 병자호란의 발생원인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병자호란의 발생 원인이 무엇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1632년 조선은 인목대비 국상사절로 온 만월개를 냉대하고 1635년 인영황후 조문사절을 살해 및 추방하는 등 강경일변도로 대응한 것이 결국은 병자호란의 원인이 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25일 작성 됨
Q.
정월대보름에 부럼을 깨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월대보름에 부럼을 깨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흔히 견과류를 부럼이라고 부릅니다. 정월 대보름날 이른 아침에 한 해 동안의 각종 부스럼을 예방하고 이를 튼튼하게 하려는 뜻으로 날밤·호두·은행·잣 등 견과류를 어금니로 깨무는 풍속을 말합니다. 다른 말로 ‘부스럼(또는 부럼)깨물기’라고도 하고 ‘부럼먹는다’고도 합니다.
미술
2024년 2월 25일 작성 됨
Q.
타이 문자는 누가 어떻게 만든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타이문자를 누가 창제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기록에 따르면 수코타이 왕국 제3대 왕인 람캄행 대왕이 1283년에 크메르 문자를 바탕으로 태국어의 음운 구조에 맞게 창제하였다고 합니다.
미술
2024년 2월 25일 작성 됨
Q.
일본에 십이지에서는 돼지가 아닌 멧돼지가 나온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국가였던 일본은 오랫동안 육식을 금했는데 이 때문이 아닐까 생각됩니다.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은 십이지와 순서가 같습니다. 일부 나라는 자기 나라에 많이 사는 동물 혹은 신화적 동물을 십이지에 넣었다고 합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