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글쓰기를 좋아하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호 전문가
열린동해문학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음악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뮤지컬의 커튼콜 전에는 관객으로서 가만히 있는 게 매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연의 특성에 맞게 대처하면 되겠습니다. 만약 공연에 감동을 받았다면, 기립을 해도 무관해 보입니다. 그것이 배우들을 향한 찬사이며 예우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역사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대표적인 교통수단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의 교통수단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조선시대 교통수단은 말, 가마, 나귀 등이 있었고 보통은 걸어다녔던 것 같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옛날에 있던 속셈학원 이제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속셈은 연필이나 계산기를 쓰지 않고 머릿속으로 하는 계산법을 말합니다. 암산을 80년대에는 속셈이라고 불렀습니다. 속셈이라는 용어는 잘 사용하지 않지만, 요즘은 암산 주산학원으로 남아 있는 것 같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의사가운은 왜 흰색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의사 가운이 왜 흰색인지 그 이유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꼭 하얀색만 있는건 아니고 미세한 청색톤, 황색톤, 분홍색톤의 가운도 있다. 깔끔해 보이면서도 잘 더러워지지 않고, 나름 스타일 있어 보이기도 합니다. 가운 뒤를 보면 끈이 하나 있는데 이건 방호목적을 위해서라고 합니다. 약품오염 등의 응급상황에서 이 끈을 힘껏 당기면 앞의 단추가 떨어져 나가면서 쉽게 벗겨지게 됩니다.
미술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그림을 배우고 싶은데 미술학원 가는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취미생활도 즐기고 사람도 사귀는 목적이라면 문화센터 강좌가 좋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고 그림을 그리는 것이 목적이라면 미술학원을 다니는 좋겠습니다. 혼자가 독학을 하는 것보다는 기법이기 때문에 기관의 도움을 받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역사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아틀란티스 도시는 실존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틀란티스가 실존했던 곳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역사적으로는 검증되지 않는 곳, 전설 속의 도시라고 합니다. 아틀란티스란 플라톤이 크리티아스에서 처음 언급한 장소로, 오래 전에 바다 속으로 가라앉았다고 하는 섬과 그곳에 있는 도시를 말합니다. 플라톤의 원저에서는 일단 실제로 존재한 도시를 묘사하려 했던 것으로 보이나 오늘날까지 다른 기록에서 교차 검증되지 않으며 기록과 정확히 일치하는 고고학적 흔적을 찾을 수 없어 전설로만 여겨지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순자의 화성기위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화성기위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화성기위는 본성을 변화시켜 인위를 일으킨다는 의미합니다. 고대 중국 전국시대 말기의 유가사상가이자 학자인 순자는 '사람의 본성은 착하다'는 맹자의 성선설과 달리, '인간의 타고난 본성은 본래 악하다'는 성악설을 주장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왜 독립운동가를 의사라고 부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독립 운동가는 의사와 열사로 나뉩니다.의사는 독립운동을 위해 무력으로 항거하여 이롭게 죽은 사람을 말합니다. 따라서 안중근 의사라고 표현합니다. 열사는 맨몸으로 자신의 지조를 나타내며 독립 운동을 한 사람을 말하는데 대표적으로 유관순 열사를 얘기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에는 아이를 자연분만으로 낳지 못하면, 그대로 목숨을 잃을 수 밖에 없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때 임산부 사망률은 대단히 높았다고 합니다. 의학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감염 등으로 사망하였다고합니다. 다산 정약용의 다산시문집 제 17권에서는 아내 풍산 홍씨이 출산 이야기를 이렇게 적었다고합니다.
역사
2024년 2월 22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역병은 어떤 병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병원체 유기물의 감염으로 집단적으로 생기는 전염병을 뜻하여 대체로 급성이며 전신 증상을 나타내어 이런 질병을 통칭하여 역병이라고 하였습니다. 조선시대 역병으로는 두창이 있었습니다. 급성 발열성 발진성 질환의 대두창은 치사율이 30%에 이르는 조선시대 전염병으로 사망률이 매우 높은것을 알 수있으며 피부발진과 곪은 흔적을 남기고 피부 표면이 움푹 파이는 흄터를 남겼다고 합니다. 또한 장티푸스도 무서운 전파력과 치사율이 높아 장례도 제대로 못치를 정도로 무서운 역병이었으며 그 당시에는 의료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속수 무책으로 감염되고 사망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