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담낭염은 꼭 수술 말고는 답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준오 의사입니다.급성 담낭염에서 담낭절제술은 근본적인 치료법으로 간주됩니다. 항생제 등의 치료로 담낭염이 호전되었더라도,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조기 수술(72시간 이내): 증상 발생 후 72시간 이내에 수술할 경우 합병증과 사망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어, 가능하다면 조기 수술이 원칙입니다.고위험군(고령, 중증 기저질환 등): 심혈관계, 호흡기계, 당뇨 등 중증 기저질환이 동반되어 수술 위험이 높을 때는 일차적으로 내과적 치료 및 경피적 담낭배액술(PTGBD) 등 대체 치료를 시행하고, 상태가 호전된 후 수술을 재평가합니다.내과적 치료 및 배액술 후 재평가: 일시적으로 수술이 어려운 경우, 보존적 치료 및 배액술로 염증을 조절한 뒤, 환자 상태가 안정되면 선택적으로 담낭절제술을 시행합니다.위의 내용과 같이 수술의 고위험군에서는 수술 외의 방법을 안내하기도 합니다만, 담낭을 제거하는 것이 급성 담낭염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만성두통이면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준오 의사입니다.만성 두통의 경우 대부분 경추를 둘러싼 근육의 경직으로 인한 것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신경학적 증상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뇌질환을 두통의 원인으로 꼽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근육으로 인한 대표적인 통증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긴장성 두통은 머리, 목, 어깨 등 두피 주변 근육의 지속적 수축과 긴장으로 발생합니다.통증은 주로 양측성(머리 양쪽)으로 나타나며, 머리를 띠로 두른 듯한 압박감, 조이는 느낌, 무거운 돌이 얹힌 듯한 둔한 통증이 특징입니다.통증 강도는 경도~중등도이며, 일상생활이 가능하지만 만성화되면 강도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오후에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고, 장시간 같은 자세, 수면 부족, 피로, 스트레스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근육의 긴장과 함께 안면 통증, 피로감, 무기력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만성 긴장성 두통은 한 달에 15일 이상,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말합니다.꾸준한 스트레칭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목 스트레칭: 머리를 한쪽 어깨 쪽으로 기울여 목 옆 근육을 20~30초간 늘려줍니다. 반대쪽도 반복.어깨 스트레칭: 어깨를 위로 올렸다가 천천히 내리며 이완을 반복.등 스트레칭: 손을 머리 뒤에 얹고 팔꿈치를 뒤로 당겨 가슴을 펴며 등 근육을 스트레칭.측두근, 승모근, 흉쇄유돌근, 견갑거근 스트레칭: 손으로 근육을 누르거나, 고개를 좌우·앞뒤로 당기며 10~15초간 유지 후 반복.폼롤러 활용: 목덜미, 등, 후두근, 측두근 등 뭉친 부위를 폼롤러로 마사지.호흡 운동: 깊게 숨을 들이마시고 천천히 내쉬며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기.하루에 2~3회 , 각 5분정도 꾸준히 시행하여 주세요.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