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전문가입니다.
김지훈 전문가
바른삼성정형외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발등 안쪽 통증이 있는데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바깥쪽으로 휘어지는 상태로 발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합니다 이로 인해 발의 다른 부위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가해져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통증이 심한 경우 맞춤형 깔창이나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발의 정렬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하기도 합니다족저근막염은 발바닥의 족저근막이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발바닥이나 뒷꿈치에 통증이 생깁니다스트레칭 물리치료 소염진통제 주사치료등이 도움이 됩니다신경압박은 발의 신경이 압박을 받거나 손상될 경우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경종같은 상태가 있을 수 있습니다신경 압박이 의심되는 경우 병원에 가셔서 치료를 받으셔야합니다관절염은 나이가 들면서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의 관절에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관절염의 경우 물리치료나 약물치료 체중관리등이 도움이 됩니다마지막으로는 평발이나 높은 아치와 같은 발의 구조적 문제도 통증을 유발합니다맞춤형 깔창이나 지지력이 좋은 운동화를 신는것을 권해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습관적으로 뚝뚝하는 무릎뼈소리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무릎에서 나는 소리 특히 뚝뚝거리는 소리는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그러나 이소리가 발생하는 원인은 몇가지가 있습니다관절내의 액체에 기포가 형성되고 이 기포가 터지면서 소리가날 수 있습니다 큰문제는 없습니다무릎의 인대나 힘줄의 뼈의 돌출부를 지나갈 때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무릎을 다친 경험이 있다면 관절의 연골이 손상되었거나 마모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소리가 나면서 통증이나 불편함이 동반됩니다마지막으로 무릎의 구조적 문제가 손상 또는 나이가 들면서 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리가 나고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특히 관절염이 있는 경우 소리가 나면서 뻐근함이나 통증이 동반됩니다일단 무릎에서 소리가 나는것은 큰 문제는 아니지만 통증이 발생하신다면 반드시 병원에 가셔서 정밀검사후 치료받기를 권해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발 뒤꿈치가 자고 일어나면 너무 아퍼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족저근막염: 족저근막은 발바닥의 아치 부분을 지지하는 두꺼운 조직입니다 이 조직이 염증이 생기면 발 뒤꿈치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 첫발을 디딜때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또 발뒤꿈치 뼈에 염증이 생기거나 뼈에 작은 균열이 생길 경우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발목이나 발의 신경이 압박받거나 손상되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수면중 잘못된 자세로 인해 신경이 눌리기도 합니다발에 맞지않거나 지지력이 부족한 신발을 신어도 발뒤꿈치에 부담이 가해져서 통증이 발생하기도합니다나머지는 체중증가나 관절염 또 운동이나 활동량이 많아지면서 발에 과도한 부담을 주어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고개를 밑으로 스트레칭 하면 뭔가 어지럽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고개를 숙이거나 빠르게 움직일 때 혈압이 급격히 변할 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일시적인 어지러움이 발생합니다또 기립성저혈압으로 일어설때 혈압이 떨어져 어지러움을 느끼기도 합니다목의 근육이나 척추에 문제가 있을경우 신경이 압박받아 어지럼증도 느끼고 목근육의 긴장이나 경직이 어지러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귀안에 있는 전정기관이 균형을 유지하는데 이부분에 문제가 생겨도 그럴수있습니다!나머지는 식사를 거르거나 혈당이 낮아질 경우에도 어지럼증이 생기니 병원에가셔서 진료를 보는것을 권해드립니다
정형외과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카티스템수술 후 다리 심은 언제쯤 뺄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가티스템 수술 후 다리심을 제거하는 시기는 개인의 회복속도와 상태에 따라 차이가나지만 일반적으로 핀을 제거하는 시기는 수술 후 6주에서 엄청 길게는 6개월 사이입니다무릎의 통증이나 불편함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핀 제거시기를 조절해야합니다수술을 집도한 의사와 상담하여 현재상태를 평가받고 핀제거에 대한 적절한 시기를 결정하셔야합니다1월에 실비혜택을 받으실 수 있다면 그 시점에 핀 제거수술이 가능할지 여부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다릅니다 만약 회복이 잘되고 통증이 없거나 경미하다면 핀제거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회복이 더필요하면 딜레이됩니다
261
262
263
264
2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