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미술
미술 이미지
Q.  벽에그리는 벽화를 프레스코화라고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바티칸의 시스티나 대성당에 있습니다.알고계신 프레스코 기법으로 작업을 하였고 그래서 제목 옆에 프레스코 라고 따로 표기를 할 정도 입니다.공식 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Michelangelo, The last judgement, 1370 x 1220 cm, Fresco, 1537~41 벽전체에 그려져 있고 특히나 최후의 심판은 천장에 있기 때문에 미켈란젤로가 누워서 그린걸로 유명 합니다. 5년 동안 천장과 벽에 그리기 위해 발판을 직접 만들면서 목숨을 걸고 만든 그의 역작 이라 할 수 있습니다.처음 공개 당시 너무 디테일한 묘사에 로마 시민들은 경악했습니다. 반면 나체를 너무 세부적으로 묘사하여 외설 논란이 있어 추후 성기를 가리는 쪽으로 수정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복합재료에서의 기계적 성질 강화 방법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재료의 기계적 성질은 재료의 물성 중 하나 입니다기계적 특성은 재료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졌을 때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기계적 특성에는 강도, 경도, 탄성, 소성, 연성, 취성 등이 있습니다.이러한 기계적 성질은 최종생성물에 따라 다양하게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우주 항공재료의 경우는 강도높아야 되지만 무게는 낮아야 되고, 내열성도 높아야되는 다목적 성질을 요구하게 됩니다. 이러한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단일 물질이 아닌 다양한 성질을 가진 재료들을 합성을 통해 제작 하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셀레 그린은 언제 누가 합성한 염료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셀레그린은 사실 염료라기 보단 독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초록색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초록색은 비소라는 독약의 성분으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당시에 초록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구리가 산화하면 나타내는 초록색을 과거 사용하였는데 이는 너무 비싸고 제조가 어렵다보니 이러한 초록색을 만들어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였습니다.그러던중 18세기 스웨덴의 화학자 빌헬름 셀레가 비소를 연구하다 비소의 산화물인 비산 구리가 녹색을 나타내는 것을 알고 염료로 사용되기 시작한것이 그 시초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복합재료의 인터페이스 강도의 향상을 위한 기술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재료에서 인터페이스는 재료와 재료가 만나는 경계면을 말합니다. 서로 다른 물질이 만날 수도 있고 동일한 물질이 만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계를 관리하는 것은 아시다시피 중요합니다.언제 파괴가 될지 언제 마모가 될지 재료의 종류 및 접촉하는 형태, 접촉 수 에 따라 다양한 경우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재료에 따라 너무 다양한 경우가 있어서 단순히 인터페이스 강도를 올리기 위한 방법을 하나로 설명 드리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최종 산출물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일반적으로 경계면이 생성되는 것 자체가 완성품이 접촉을 필요로 하는 제품일 것이기 때문에 제품의 완성도 및 수명을 위해서 경계면을 어떻게 구성할지가 가장 중요한 제작 포인트가 되게 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고분자 재료의 열적 안정성은 어떻게 개선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물질의 내열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내열성을 가진 소재를 추가로 합성 시키는 방법이 있고 조직의 밀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습니다.고분자 물질에 따라 다양한 재료를 합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예를 들어드리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기본 뼈대가 되는 조직에 내열성을 가진 조직을 추가로 합성을 하기도 하며 밀도와 같은 결정화도를 높혀 조금 더 열에 잘버티는 방법으로 합성을 추가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미술 작품을 평가하는 것 중에서 호라는 것은 어떤 규격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그림의 크기를 부르는 호칭입니다.캔버스의 사이즈를 말하는데 보통 1 호가 22.7X15.8cm 입니다. 크기가 더 커지면 10호 100호 사이즈도 많이 있습니다.이러한 사이즈는 작품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는데요, 보통 대학을 갓 졸업한 작가들은 1호당 3~4만원 이라 부르기도 하고 중견 작가는 호당 10~20, 유명 작가는 호당 100~1000을 호가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캔버스의 크기가 1호 의 직사각형 형태와 비례해서 커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1평이 3.3 미터 제곱인것 처럼 호로 호칭을 하는 것은 크기와 형태가 제각각인 경우가 많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소리를 색감으로 표현하려면 어떤걸 신경써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소리나 음을 색으로 표현하고자 했던 작가가 있었습니다. 최초의 추상미술 작품을 만든 칸딘스키 역시도 소리를 색과 표현으로 재현하려고 하였습니다.음악을 모르는 사람도 웅장한 오케스트라 음악을 들일때 교양감이 드는 것처럼 자신의 작품앞에서도 그러한 교양감과 같은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을 하였습니다.바이올린은 녹색, 첼로는 파랑색 등을 써서 표현하고 색과 대상을 교향곡처럼 표현하였습니다. 해당 시리즈는 composition 인데 사실 실제로 작품을 눈으로 보아도 회화에서 소리가 들리진 않습니다.그림에서 대상을 지우는 추상을 시작했던 작가인 만큼 신비주의에 관심이 많았기에 음악으로 소리를 표현하고자 도전을 했던 것 입니다.하지만 실제로 시각과 청각은 분리되어 있기에 과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거리를 그릴 때 나와 정면으로 보고있는 건물들만 투시도법이 적용되고 옆으로 또는 사선으로 있는 건물은 적용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투시도법은 원근법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법으로써 풍경과 대상을 정확하게 묘사하기 위한 방법 입니다. 투시도법을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케치전 소실점을 정하여 시선을 고정하여 그림을 그리는 것이 중요합니다.일반적으로 투시도법을 사용하여 사실적인 풍경을 그리기 위해 장시간 앉아 있기는 어려우니 원하시는 각도로 사진을 찍은 뒤 세부적인 스케치는 실내에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삼거리의 교차점에 있는 건물이 만약 소실점을 지나가는 위치에 있다면 보이는 부분만 묘사하시면 됩니다. 교차로에 의해 건물의 전체 형태가 보이지 않으시는 것 같은데 원근법은 생각하지 마시고 눈에 보이는 부분만 그리셔도 됩니다. 나머지 부분에서 건물전체가 보이는 건물이 원근감을 더해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안녕하세요. 언제나 당신 편입니다. 올해 눈이 많이 와서 종종 염화 나트륨을 사용하는데 염화나트륨이 돌에 스며 들어서 돌이 색이 변색이 되었습니다. 그 이유가 어떻게 되나요?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염화나트륨은 쉽게 소금성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소금이 금속을 부식시키는 것 처럼 염화나트륨은 물에 녹아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리되어 높은 극성을 띄고 있습니다.만약 돌에 스며들어서 부식이 되었다보면 돌 안에 아마 금속성분이 존재하는 암석일 것으로 예상되고 암석 내부의 금속부분이 염화나트륨에 의해 부식되어 변색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재료공학
재료공학 이미지
Q.  히팅건으로 실리콘 원하는부분 녹일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음 히팅건으로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히팅건 앞에 붙이는 도구 중에서 입구가 좁은 노즐을 사용하면 국소부위에도 원하시는 효과를 얻으실 수 있을것 같습니다.하지만 인두기처럼 접촉해서 녹이는 것이 아니라 열을 사용한 대류현상으로 녹이기기 때문에 좁은 노즐을 사용해도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가 녹을 것으로 생각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41142143144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