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미술
2025년 1월 9일 작성 됨
Q.
조각 작품을 관람할때 어떤 시각적인 관점을 가지고 바라봐야 작가의 표현 방식을 이해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조각작품이라고 다른 회화나 미디어 작품과 다르게 감상을 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하지만 2차원의 평면인 미디어나 회화와 다르게 3차원이라는 입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앞뒤 좌우 전부 작품을 볼수 있는 작품들이 많기에 감상 할 수 있는 방법이 더 많은 것은 사실 입니다.또한 겉과 속을 가지고 있으므로 보통 조각작품을 감상할 때 어떤 재료를 사용하였는지 해당 재료를 어떻게 가공하여 표현하였는지를 먼저 알고 보시는게 좋습니다.금속과 같은 재료를 나무처럼 보이게 사용하기도 하고 아주 가벼운 재료를 무겁게 보이게 하는 것이 조각이기 때문에 재료를 보고 작가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기도 합니다.또한 조각이 형태를 모방한 구상조각인지, 내면을 표현하는 구체적인 대상을 모방하지 않는 추상조각인지에 따라 관람 방식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그리고 요즘의 조각 작품이라 불리는 설치작품은 작가가 전부 만드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과거에 석고 같은 경우도 대형작품의 경우는 조수와 함께 작업하였으며 요즘의 설치 작품은 작가가 설계도를 만들고 제작은 공장에 외주를 주는 경우도 아주 많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5년 1월 9일 작성 됨
Q.
가끔 미대생이라고 용돈벌이 한다며 작품을 팔곤하던데 진짜인지 모르겠지만 믿고 사줘야 하는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참 어려운 질문입니다.너무 나쁘게 보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미대를 졸업해서 작업으로만 먹고사는 작가들은 1%도 채 되지 않기 때문에 미대생들이 전업작가가 되고자 하면 자신의 작품을 파는 것 말곤 돈을 벌수 없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서울에서는 아시아프 라는 행사를 열어서 전업작가를 희망하고자 하는 졸업예정자 들이나 40대 미만의 젊은 작가들만의 작품을 모아서 판매하는 행사를 하고 있습니다.저도 가끔 가서 구매하곤 하는데 가격도 저렴하기도 하고 투자적인 가치 보다는 작품을 집안에 걸고 집의 인상을 바꾸기 위한, 인테리어 용으로 구매를 합니다.그 이면에는 내가 구매한 작가가 힘을 얻어서 창작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응원하는 의미도 컸습니다.너무 나쁘게만 보지 마시고 작품이라는 것이 시간과 노력을 통해서 만들어내는 마치 자식같은 의미를 가지기에 가볍게 만들어 파는 작가들은 없다고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2025년 1월 9일 작성 됨
Q.
미래의 에너지 자원으로 태양광이나 풍력등이 떠오르고 있는데 실제로 일상생활에 많은 도움이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물론 입니다.자연에서 지속적으로 만들어지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것을 재생에너지 발전 이라고 합니다.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재생에너지 발전의 비율을 높힐 필요가 있습니다.왜냐하면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의 비율이 20%인데 반해 한국의 경우 화석연료 발전(석탄+천연가스)가 50% 원자력 발전이 40% 재생에너지 발전은 10% 밖에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화석연료 발전이 만들어내는 이산화탄소가 가장 큰 문제가 되기 때문입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산업군 중 하나가 바로 발전산업이기 때문입니다.또한 글로벌 기업들에서 이러한 탄소를 줄이고자 기업이 활동하는데 사용하고 수입하는 제품들을 재생에너지를 사용한 제품에 한해 수입을 하거나 재생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은 제품이면 추가적으로 비용을 추가시키고 있기 때문에 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율을 높힐 필요가 있습니다.하지만 이는 개인단위에서는 어렵고 국가단위에서 대규모의 투자를 통해 발전 형태의 변화가 일어나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자연스레 사용하는 국민의 전기세는 올라가기 때문에 쉽지 않은 결정이라 계속 지연되고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2025년 1월 9일 작성 됨
Q.
어떤 종류의 음식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많이 검출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미세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해양생물의 체내에 쌓여 인간에게 들어오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들으신데로 일반 가공식품과 같은 음식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의외로 식품보다 소금에 가장 많이 들어 있습니다. 소금도 일반적으로 해양에서 생산하지만 히말라야 소금은 땅에서 채굴을 하게 되는데 히말라야 소금에 가장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습니다.또한 티백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많이 검출 됩니다. 뜨거운 물에서 우려먹는 과정에서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다고 합니다.또한 편하게 먹는 즉석밥에도 포장 용기가 전부 플라스틱이다보니 미세플라스틱이 녹아나와 즉석밥에도 미세프라스틱이 많이 나옵니다. 그리고 플라스틱 병에 들어있는 음료들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많이 검출되는데 생수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2025년 1월 9일 작성 됨
Q.
초보자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직관적인 영상편집 프로그램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유튜브를 하려고 하시는건가요?그리고 혹시 영상 편집을 핸드폰으로 하고자 하시는건가요 아니면 pc 로 하고자 하시는건가요? 어플도 종류가 많고 pc 에 설치하는 프로그램도 종류가 많습니다.제가 사용해 본 것 위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전 pc 로 영상을 편집하였습니다가장 편하게 쓸수 있는 프로그램은 필모라 입니다 https://filmora.wondershare.kr/?utm_source=other_media_sites&utm_medium=social&utm_term=%ED%95%84%EB%AA%A8%EB%9D%BCnew&utm_content=post_20045322_2023-10-23위에서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한글화가 되어있고 자막이나 영상을 잘라 붙이는 것이 아주 직관적으로 잘 되어 있습니다.단순한 수준이라면 가장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료 프록램이다보니 영상을 만들고 나면 필모라 라는 워터마크가 영상에 붙게 됩니다그다음으로는 다빈치 리졸브 가 있습니다.한글화가 되어 있긴하지만 필모라 보다는 전문적으로 영상을 편집할 수 있어서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료버전을 사용해도 워터마크는 붙지 않습니다.포토샵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해 보셨으면 쉽게 적응하실 수 있긴 하지만 전혀 사용해 보지 않으셨다면 유튜브에 무료 강의가 많이 있습니다.개인적으로도 많이 찾아보았는데산디16 박자이너 님의 강의가 가장 도움이 되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2025년 1월 7일 작성 됨
Q.
117년 만의 폭설 최고의 적설량 이랍니다.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폭설의 원인은 근본적으로 지구 온난화가 맞습니다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해양과 대기의 기온차이 때문입니다. 지구 온난화 때문에 지구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지구바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이산화탄소 때문에 온실화 된 대기에 부딪혀 다시 지구로 오게 됩니다. 이러한 열이 지구의 대지 및 해양을 달구어서 지구가 전체적으로 온난화 되는 것 입니다.그래서 실제로 해양의 수온은 매년 올라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던 중 바다 위로 차가운 저기압 덩어리가 지나가게 되는 경우 대기중에서 쉽게 눈구름대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바다의 수온은 작년대비 3도이상올라 15도 정도인데 대기중의 저기압 덩어리는 최대 영하 40도 정도가 되는데 바다와 맞닿아 있는 대기중의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가면서 대기가 불안정해지고 저기압 내부에서 수증기가 뭉치게 되어 폭설이 발생한 것 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공학
2025년 1월 7일 작성 됨
Q.
플라스틱은 잘 분해되지 않지만 미세 플라스틱은 많이 생겨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좋은 질문입니다.아시는데로 플라스틱은 기존의 물건이나 재료를 담는 도구로 사용하던 토기나 유리, 종이 들보다 가볍고 쉽게 만들 수 있으며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담는 도구들을 대체하여 세계적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하지만 썩지 않는다는 최악의 단점때문에 현재 미세플라스틱이라는 독으로 인류를 위협하고 있습니다미세플라스틱은 자연계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가 되지 않는 것이니 열이나 충격 등에 쉽게 부숴집니다. 특히나 자외선에 의해 쉽게 색상이 바래고 이것이 지속되면 플라스틱 내부의 분자구조에 변화가 일어나고 점차 바스러지기 시작합니다. 이것이 바로 미세플라스틱의 시작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이러한 플라스틱이 특히나 해양으로 흘러갈 경우 햇빛 뿐 아니라 물과 염분에 의해 또다시 잘게 부숴지게 되는데 이것들이 어류의 체내에 쌓이고 결국은 인체 내부에 까지 들어오게 되는 것 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공학
2025년 1월 7일 작성 됨
Q.
혈흔에 뿌린 루미놀시약의 효과는 점점 옅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루미놀 시약 자체가 빛을 만들어내는 발광성 화학물질인데 혈액 내의 철분과 반응하여 푸른색을 띄도록 제조하게 됩니다. 혈흔감정 뿐 아니라 생물영역에서는 세포분석을 할때 사용하기도 하빈다.실제로 루미놀 시약 자체도 냉장보관을 하게 될 경우 제조후 5일 이내에 사용해야 될 정도로 공기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버립니다. 실제 감식에 사용될 때도 사용전 만들어서 사용을 하고 혈흔을 찾기 위해 루미놀 약품을 쓸때도 푸른빛이 오래가는게 아니라 10초 정도로 잠깐 보입니다. 그래서 당연히 뿌리고 난뒤에 몇일이 아니라 십분만 지나도 루미놀 반응이 사라지게 됩니다. 루미놀 반응은 소설에서 아주 획기적인 방법처럼 사용되어 지지만 실제로는 닦여져 있는 혈흔을 찾기 위함이 크고 작은 혈흔의 반응을 찾기 위해서는 집중을 해서 잘 사용 해야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공학
2025년 1월 7일 작성 됨
Q.
화학제품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화학제품관리시스템의 주요기능이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화학제품관리시스템은 https://chemp.me.go.kr/login 사이트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환경부의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됨에 따라 가정 사무실 등 일상공간에서 사용되는 화학제품 중에서 사람이나 환경에 유해성이 있는 제품들 중에 환경부 장관이 지정한 생활화학 제품을 관리하게 되었습니다.해당 법에 따라 품목에 따라서 신고대상 안전확인생활화학제품 과 승인대상 안전확인대상 화학제품으로 구분되었는데 화학제품관리시스템에는 이러한 제품을 신고하고 승인을 하는 사이트를 말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2025년 1월 7일 작성 됨
Q.
가스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어찌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보통 가스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으로 집안 온도를 고정적으로 유지(18~20도)하고 외출모드를 사용하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무래도 보일러의 특성상 끄고 켤때 소모되는 양이 많고 다시 예열을 하는데 가스가 많이 소모되므로 겨울철 내내 일정하게 계속 켜 놓는것이 가장 가스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내부의 습도도 적정하게 유지 하는 것도 중요한데 건조하면 열전달이 잘 되지 않으므로 적정 습도인 40~60%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해당 방법은 도시가스공사에서도 인정하고 추천하는 방법입니다.https://k-gascashback.or.kr/ko/guide/gas/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