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김찬우 전문가
KATRI시험연구원/국립현대미술관
미술
미술 이미지
Q.  근원 김용준은 학생 때 입선된 전람회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1924년은 일제 강점기로 당시 국가주도로 했던 미술 전람회는 조선미술전람회 밖에 없었습니다. 이러한 조선미술전람회를 선전이나 조선미전이라 불렀지만 전부 같은 미술전람회 입니다.조선미술전람회는 1922년부터 1944년까지 23년간 개최 되었습니다. 자료를 보니 김용준 선생님은 중학교때 제3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중학생때 출품하여 입선을 하였다고 하니 당시 재능이 아주 뛰어났던것 같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파스넷과 마카펜의 용도는 어떤 차이점이?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파스넷은 사실 특정회사의 제품명으로 크레파스 입니다. 마카펜은 marker pen 으로 색상을 만들어내는 잉크를 펜끝에 공급해주는 색상원액을 가지고 있는 펜을 말합니다. 파스넷은 크래파스라 보통 초등학생 이하 학년에서 많이 사용하고 마커펜의 경우는 아실 연령을 가리지 않고 수성, 유성 등 다양한 재료를 전연령에 걸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정권이 바뀌면 우리나라도 친환경 에너지 사용비율이 올라갈까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현정권의 경우 원자력 발전에 집중하여 재생에너지 발전을 등한시 한것은 사실 입니다.하지만 정권이 바뀐다고 해도 에너지 전환 부분은 쉽지 않을거라 생각됩니다현재 국내의 발전원별 비율을 보면 화석연료(화력+천연가스) 발전이 50% 이고 원자력 발전이 40%, 재생에너지 발전이 10% 입니다. 재생에너지 발전의 비율을 높혀야 하지만 화석연료 발전에 비해서는 아직 경재성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 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같은 경우는 원자력 발전의 비중을 높혀 천천히 재생에너지 발전으로 넘어가야 합니다.왜냐하면 당장 화석연료 발전의 발전을 멈추면 이를 대체하기 위한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턱없이 부족하고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건설비용이 화석연료 발전보다 비싸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필연적으로 원자력 발전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가장 큰 문제는 국민들의 전기세 부담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늘리는 것은 지구온난화를 막고 파리기후협약을 지키기 위해서는 필요하지만 정권이 바뀐다고 쉽사리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경제 상황도 좋지 않은 요즘이라 재생에너지 설비투자는 아마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미술 전공을 하여도 미술에 관련된 역사 공부를 더 하려면 어떤것을 전공을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미술대학의 경우 크게 실기와 이론과로 나뉘어 집니다.질문하신 영역이 바로 이론과라 할 수 있습니다.미술대학하면 아무래도 실기과가 메인학과 이지만 이론과도 분명히 존재하고 진로가 있습니다. 미술이론과의 경우 미술사학과, 미술철학과, 미학과, 미술이론과, 박물관학과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대학별로 이론과의 이름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미술사, 미술철학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배우게 됩니다. 미술철학을 보통 미학 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서울대의 경우 미학과가 아주 유명합니다. 미술이론과를 가기 위해서는, 저도 미술이론과를 대학원으로 가고 싶어 현재 준비를 하고 있는 중이기에 저도 공부 중입니다. 학사의 경우는 사실 미리 공부를 하지 않으셔도 좋지만 기본적인 서양 미술사, 서양철학사 정도는 공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입문 이시라면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너무 두껍고 글 자체가 딱딱하여 입문으로 읽기는 버겁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 클릭 서양미술사 라는 책을 추천드립니다. 도판도 많고 읽기가 편합니다. 미술철학, 서양철학은 책이 다양한데 개인적으로는 진중권의 미학 오딧세이를 추천 드립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핫팩을 다 쓰면 모래 알갱이 같은것은 재활용을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재활용은 불가합니다.핫팩의 주요 원리는 내부의 철가루의 산화반응을 통해 열이 만들어지는 것 입니다. 그래서 내부의 주요 재료는 철가루와 흙, 소금 등이 들어있습니다. 흔드는 과정을 통해 철가루가 산화철이 되는데 사용후 다시 밀봉해두면 수회 재사용이 가능하긴 합니다. 하지만 이는 제품 자체를 재활용할 수 는 있지만 재료 자체를 재활용 할 수는 없습니다.사실 썩는 봉투를 재외하면 썩는 재료는 아니니 내부 재료는 화단에 뿌리셔도 사실 환경오염을 일으키진 않긴 합니다. 일반적으로 철은 전부 녹여서 재활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산화철은 가루 형태라 모래속에 섞이고 플라스틱처럼 분해되어 미세플라스틱을 만들어내진 않기 때문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어려서 부터 그림을 잘 그려 미술관련 전공을 시킬 경우 먹고사는 전문가로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어느정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미대를 졸업하여 전업 작가로 활동할 확률은 10% 이하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작가로 활동하지 않더라도 회사에 취업하여 직장인으로서는 살아갈 확률은 70%는 넘습니다. 미대의 취업율은 평균 70% 정도 되거든요하지만 미대를 졸업했다고 해서 반드시 미대에서 배울것을 활용하여 전문가가 되는 확률은 역시나 10% 이하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는 미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타학문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해당 전공을 바탕으로 대기업에 취업을 할뿐이지 박사학위를 갖지 않고서는 학사 석사의 경우 전공과 다른일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기 때문입니다.미대를 나왔기에 전공을 무조건 살려야 한다, 살리지 못하면 취업하지 못한다는 선입견은 버려두셔도 됩니다. 대학에서 전공외에도 배울것은 많이 있으며 대학을 나온 것 자체로 스펙이 되며 전공을 활용하여 일반 기업에 취업도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지구의 온도상승과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지구상의 모든 얼음이 녹는다면 아시다시피 일단 인류는 멸망합니다.자료를 찾아보니 남극의 모든 얼음이 녹으면 해수면이 65 미터 상승하고 그린란드의 얼음이 모두 녹으면 7미터가 상승합니다. 북극의 경우는 얼음이 녹아도 해수면이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지구상의 얼음이 전부 녹으면 대략 73미터 이상 상승하게 됩니다.북극의 얼음은 바다위에 떠있는 얼음이라 녹아도 해수면이 상승하지는 않습니다.지구 온난화를 막는 방법은 지구의 대기를 온실로 만드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고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방법만 존재합니다이산화탄소의 배출은 인간이 주로 만들어내고 있으므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산업군을 이산화탄소가 배출하지 않는 형태로 전환하여야 합니다.주요 이산화탄소 발생산업은 발전산업과 수송산업입니다. 발전의 경우 50% 이상이 화석연료 발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전환을 하여야 합니다.그리고 수송산업에서 자동차의 엔진에서도 역시나 화석연료의 발전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대량으로 배출됩니다. 이부분은 2030년 부터 자동차 생산업체들이 내연기관 자동차의 생산을 중단한다는 결정을 내렸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하지만 발전부분의 전환은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는 분야라 국가별로 그러한 투자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이부프로펜에서 이소부틸기가 어딘지 표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이소 부틸기는 탄소가 4개 이어져 있는 형태로 말로는 어려우니 그림으로 그려서 보여드리겠습니다. 첨부해드리는 그림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환경·에너지
환경·에너지 이미지
Q.  태양 에너지의 장단점과 주요 활용 사례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태양으로 부터 나오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사용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태양열 발전이 있고 태양광 발전이 있습니다.태양열 발전은 열에너지->전기에너지 로 전환하는 과정이고태양광 발전은 빛에너지-둘다 재생에너지 발전이지만 태양열 발전은 태양열을 모아 물을 끓여서 모터를 회전시켜 발전을 얻는 방식인데 반해 태양광 발전은 빛에너지를 패널로 모아 바로 배터리에 전기를 저장하는 방식이라 절차와 단계가 간단하여 건물 옥상이나 지붕위 등 어디서든 쉽게 발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아무래도 경제적으로 설치비용이 저렴하다보니 다른 재생에너지의 경우 국가단위에거의 건설이 필요하나 태양광 발전은 개인단위에서도 충분히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독일의 경우 재생에너지 중 태양과 발전의 비율이 10% 이상 유지될 정도로 활용도가 높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미술
미술 이미지
Q.  이 그림 그리신분을 찾고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구글에서 검색을 해보니 스레드에 mandu_10 이라는 만두 10개라는 분으로 보입니다.사실 다른 작품을 트레이싱 한것 처럼 보이기도 하고 뭔가 특색이 있어 보이진 않지만 동일한 작품을 올려놓을 것으로 보아 해당 사용자가 맞는 것으로 판단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1661671681691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