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반화학 착이온과 용해도/ 평형농도 질문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은거울 반응에 대한 반응식이네요 질산은 용액에 암모니아수를 충분히 넣게되면 반응이 진행되면서 Ag(NH3)2OH 가 생성됩니다. 최초에 질산은 용액에 암모니아수를 넣으면 Ag2O 로 앙금이 생성되지만 지속적으로 암모니아수를 넣게되면 Ag(NH2)2OH 가 과포화 되어 생성이 됩니다. 화학반응식에서 1차반응은 농도가 줄어들게 되면서 반응속도가 줄어들게 되어 평형에 이르게 되는 반응입니다. 이러한 그래프는 2차 함수 형태이고 곡선을 그리게 됩니다. 사실 알고 계신데로 완벽한 평형, 즉 반응이 끝났을 때 더이상 반응이 없이 멈춰져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추가적으로 농도를 높혀도 더이상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때, 생성물이 생성되지 않을때를 평형이라고 정의하기 때문에 실제 내부에서는 안정을 찾기 위한 반응이 일어나곤 있지만, 1차반응의 정의로 보았을 때는 평형에 도달하였기 때문에 평형 농도라고 부르고 계산을 하게 됩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
Q.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종류와 그 중요성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지속가능한 에너지, 이를 발전에서는 재생에너지 라고 부릅니다. 아시다시피 태양광뿐 아니라 풍력, 수력, 지력, 파력 등 자연에서 발견되며 지속적으로 생산이 되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것을 재생에너지 발전이라고 합니다.실제 세계적으로 전체 에너지 생산 중 재생에너지의 비율은 20% 내외이나 한국에서는 재생에너지의 비율이 10% 내외로 낮은편입니다. 그래서 에너지 대전환 이라는 이름으로 재생에너지 발전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 많은 투자가 필요한 상황입니다.왜냐하면 아시다시피 전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화석연료 발전에서 생산되는 탄소의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여러가지 노력을 넘어 규제가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또한 기업에서도 RE 100 CFE 100 과 같은 탄소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으며 그들이 생산하고 사용하는 제품에 한해서도 탄소에너지를 사용한 제품에 수수료를 부가하거나 재생에너지를 사용한 제품만 사용하는등 패널티를 주고 있는 상황이므로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을 위해서도 재생에너지 발전의 비율을 높힐 필요가 있습니다.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