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소비와 관련해서 프레이밍 효과가 어떤 것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프레이밍 효과는 행동 경제학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는 개념으로, 정보를 제시하는 방식에 따라 사람들이 동일한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다르게 인식하고 다른 선택을 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말 한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는 속담처럼, 어떤 사실을 어떻게 포장해서 전달하느냐에 따라 소비자의 의사결정이 달라지는 현상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건강식품 또는 약품 광고에서 긍정적 프레임은 '이 약을 복용하면 90%의 사람들이 통증 완화를 경험합니다. 부정적 프레임은 '이 약을 복용하면 10%의 사람들이 여전히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90% 통증 완화라는 긍정적 프레임에 더 끌려 구매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Q. 외환위기시 채권같은 경우 투자를 할만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외환위기는 한 국가의 외환 보유액이 급감하여 대외 채무를 상환하기 어렵게 되거나, 외국 자본이 급격히 유출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외환위기가 발생하면 해당 국가의 신용도가 급격히 하락합니다. 투자자들은 그 나라가 채무를 불이행할 위험이 높아졌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해당 국가가 발행한 국채를 기피하게 됩니다. 수요가 줄어들면 채권 가격은 폭락하고, 이는 곧 채권의 수익률 급등으로 이어집니다.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요구해야만 채권을 사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기업 채권도 마찬가지로, 기업의 부도 위험이 높아지면서 회사채 가격은 급락하고 금리는 폭등합니다.외환위기 시 채권 투자는 매우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 그리고 고위험 감수 능력을 요구하는 영역입니다. 일반 개인 투자자라면 채권 디폴트 위험과 환율 변동성이라는 이중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웬만하면 해당 시점에는 투자를 지양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Q. 연준의 기준금리 정책이 경제 흐름에 끼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연준은 경기를 과열시키지 않으면서도 물가 안정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금리를 조정합니다. 금리 인상시에는 차입 비용 증가로 기업 투자 및 소비 위축, 주택 시장 둔화, 물가 상승 압력 완화 등이 있습니다. 미국 금리가 높아지면 달러 표시 자산의 투자 매력이 커져 전 세계 자금이 미국으로 유입됩니다. 이는 달러 강세로 이어집니다.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기업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주식 시장에 하락 압력을 가합니다.금리 인하 시에는 차입 비용 감소로 기업 투자 및 소비 촉진, 주택 시장 활성화, 물가 상승 압력 증가, 자산 가격 상승 압력이 있습니다. 미국 금리가 낮아지면 달러 자산의 매력이 감소하여 다른 국가로 자금이 분산되고 달러 약세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