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앞으로 원화가 강세로 돌아갈 수 있는 뉴스가 있을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원화 약세는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단기간 내에 뚜렷한 강세 전환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한국 경제의 수출 증가세가 뚜렷해지고,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유지되며, 외국인 투자 자금이 국내 증시로 유입되는 등 펀더멘털이 개선된다면 원화 강세를 지지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주요 기관들의 경제 성장률 전망은 1% 후반에서 2% 초반으로 뚜렷한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현재로서는 뚜렷하게 원화 강세로 전환될 만한 확실한 뉴스는 부재한 상황입니다. 글로벌 무역 갈등 심화, 미국의 고금리 지속 가능성, 국내 경제 회복의 불확실성 등 원화 약세를 지지하는 요인들이 여전히 우세합니다.
Q. 지금 미국채 금리가 폭등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최근 미국 정부의 강도 높은 관세 정책 발표는 글로벌 무역 질서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자들은 위험 자산 회피 심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미국 국채에 대한 수요가 일반적으로 증가해야 하지만, 오히려 금리가 폭등하는 것은 이례적인 현상입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최근 미국 장기 금리의 급등 현상을 채권 시장의 유동성 문제, 즉 '기능 고장'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매도 주체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시장 내 유동성 부족으로 인해 특정 세력의 매도 물량이 가격 급락을 야기했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Q. 환율이 이렇게 치솟을때 환전해서 미국주식 하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환율이 높은 수준이고 미국 주식 시장도 조정을 받고 있어 투자에 대한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현재 원/달러 환율이 높은 수준이므로, 미국 주식을 매수 후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원화로 환산한 투자 수익이 줄어들거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단기 투자일수록 환율 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배당주 위주로 장기 투자를 고려하신다면, 단기적인 환율 변동보다는 장기적인 주가 상승과 배당 수익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장기 투자에도 환율 변동 위험은 존재합니다. 환율 변동 위험을 줄이기 위해 환헤지 펀드나 ETF에 투자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환헤지에는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환율 하락 시 환차익을 얻을 수 없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Q. 증시에 역대 가장 큰 하락폭을 낸 이슈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증시 역사상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한 날은 1987년 10월 19일의 블랙 먼데이입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하루 만에 22.61% 폭락했습니다. 이는 금액으로도 엄청난 규모였습니다. 9.11 테러와 IMF 외환 위기 당시에도 증시에 큰 충격과 하락이 있었지만, 블랙 먼데이의 하락폭에는 미치지 못했습니다. 테러 직후 증시는 일시적으로 폐쇄되었고, 재개장 후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 하루 최대 낙폭은 블랙 먼데이보다는 작았습니다. 예를 들어, 다우존스 지수는 9월 17일에 약 7.1% 하락했습니다. 한국 증시의 경우 IMF 외환 위기 당시 장기간에 걸쳐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 특정 하루의 하락폭으로만 보면 블랙 먼데이가 더 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