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김채원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9일 전 작성 됨
Q.
인간의 자발적 가축화의 진행이 진화에 미친 영향은 무엇이라 볼 수 있는가?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자기가축화는 사회성을 높이고 인지발달을 높여 인간의 협력중심문화를 만들어냈습니다.스스로 생물학적 변화를 만들어내고 공격성을 줄이면서 사회성을 늘려나간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9일 전 작성 됨
Q.
침대 보에 뭔가 쪼그만 벌레가 가끔 보이는데 이거 퇴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사진속벌레는 카펫 딱정벌레유충일 수 있습니다.집먼지나 섬유 동물성조직들을 먹으면서 서식하는데, 방치하면 피해가 누정될수있습니다.보통 고온스팀이나 진공청소기로 청소하고 세탁이가능하면 60도이상 온수로 세탁을하면 좋습니다.
생물·생명
29일 전 작성 됨
Q.
완보동물이라고도 하는 물곰은 육안으로도 관찰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물곰은 0.1~0.5mm 정도라서 육안으로는 거의 보이지않고 현미경으로 관찰이 필요합니다.다만 일부 큰 종은 1.2mm까지 자라서 희미하게 점 형태로 보일수는 있지만 세부관찰은 불가능하다고 보는것이 좋겠습니다.
생물·생명
29일 전 작성 됨
Q.
신내림을 받게 되는것, 정말 가능한일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신내림은 과학적으로는 문화적해석을 동반한 정신질환 증상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주로 분열증이나 스펙트럼이나 해리성장애와 연관된다고합니다.심리적인 갈등이 신앙체계내에서 신병으로 표현되고, 사회적인 승인과 해석이 증상완화로 이어지는 문화적인 치료효과도 볼 수 있다고합니다.
생물·생명
29일 전 작성 됨
Q.
고대 생물들의 크기는 왜 지금보다 훨씬 컸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고대에는 대기중 산소농도가 높아서 생물의 대사 효율이 좋았고, 포식자 압력이 낮아서 큰 체형이 생존에 유리했다고합니다. 또한 기후가 안정적이고 광범위한 서식지가 존재해서 대형 생물이 진화하기 좋은 환경이었습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