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무향실에 가게 되면 사람이 공황이오거나 소리를 듣게 느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무향실에서는 외부의 소리가 거의 차단되기때문에, 뇌가 내부 신호까지 증폭해서 지각하게되고, 이때 실제없는소리를 환청처럼 경험할 수 있다고합니다.또한 감각입력이 급격하게 줄어들면, 뇌의 예측, 균형체계가 불안정해져서 공간적 방향감각상실이 발생하고, 불안이나 공포, 공황반응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Q. 유전자 추적으로 아이친부찾기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아이의 DNA로 친부일 가늘성은 특정대산자와 비교하게되면 거의 100%판별되기는하지만,국가가 주민등록증처럼 일반 데이터베이스화를 해놓고있지는 않기때문에,자동대조로 친부를 특정할 수는 없습니다.다만, 범죄자의경우 별도의 유전자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있을 수 있기때문에,용의자나 특정 지목된 후보자와의 비교를통해서는 확인이 가능할 수있습니다.
Q. 아스파탐은 어떤 화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인체에서 어떻게 분해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아스파탐은 두아스파르트산과 페닐알라닌이라는 두 아미노산의 메틸 에스터형태로 이루어진 디펩타이드 유도체 구조를 가집니다.인체에서는 소화효소에의해서 가수분해되고, 아스파르트산, 페닐알라닌,메탄올로 분해되어서, 이들이 각각 일반대사경로인 아미노산 대사, 포름산 전환 등으로 들어가게됩니다.
Q. 활성산소 신호전달역할을 확인 하는 실험이나 자료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식물의 기공은 앱시스산, 이산화탄소 증가, 오존자극등에따라 NADPH 산화효소가 활성화되고, 과산화수소와같은 활선산소가 급격히늘어나며, 이것을 칼슘신호를 통해 기공읃 닫히게 만듭니다.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활성산소 형광탐지염료인 H2DCF-DA나 활성산소 특이 탐지 단백질 센서를통해 공변세포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돌연변이체나 저해제, 스캐빈저처리, 혹은 외부 과산화수소처리를통해서 원인과 결과 관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