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루이스 전환점'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보통 급속도로 성장한 신흥국이 그렇습니다.지금의 한국이 딱 좋은 예이죠.루이스전환점은 경제성장이 급속도로 이루었지만 점차 인력이 도심으로 고임금으로 가면서 점차 저효율 구조로 가는 형태입니다.고점을 찍고 한동안 성장세 없이 가다가 보통은 과학기술발달이나 새로운 분야의 성장으로 다시 올라갑니다.
경제동향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올림픽이 가져다주는 경제효과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올림픽으로 인하여 여러가지 경제발전에 아주 긍정적입니다.짧은 시간안에 엄청난 관광수입으로 외환이 많이 들어오고 소비가 늘어나니 시장이 활성화가 됩니다.그의 시너지로 연관 기업들의 매출이 많이 오르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또한 나라가 홍보되는 것이니 그 나라의 기업들에 대한 투자,운동 선수들의 스카웃을 통해 여러 가지로 그 나라의 이미지도 바꿀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증권사에서 주문 체결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둘 다 가능합니다.사람이 하기도하고 프로그램을 돌릴 수도 있죠.구분되어 있습니다.보통 사람이 하는 것은 고객 돈을 가지고 굴리는 것인데 아무리 전문가라도 %로 본다면 하루에 1~5%해도 많이 하는겁니다. 물론 굴리는 돈의 사이즈가 다르니 수익금액은 개인과 많이차이가 나겠죠.
경제동향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이번에도 미국 금리는 인상으로 우리나라의 입지는 어떻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물가상승률이 쉽게 안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다음 수입물가가 다시 오름세이면 결국 소비자물가도 오르고 거기에 해외자본도 유출될거라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그리고 다음 금리도 0.25%정도는 올릴 가능성이 매우 커보입니다.
경제용어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스핀오프(Spinoff)라는 말은 무슨 뜻?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기존에 있던 영화나 드라마 등의 주인공에 새로운 이야기입혀 전혀 다른 이야기를 만드는 것회사로 보자면 회사 분리를 통해 경영효율화를 위한 것으로 기존 회사에서 하던 다각화 사업 중 하나를 분리하여경쟁력을 갖추고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거기에 지분 투자를 함으로써 기존 회사의 수익 창출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네이버도 삼성SDS에서 스핀오프로 시작하여 대기업이 되었죠.도움이되셨다면 추천 , 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왝더독(Wag the dog)에 대해서 설명 좀....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꼬리가 몸통을 흔든다는 것이로 주객전도된 상황을 말합니다.주식시장에서는 현물이라는 것이 몸통이고 선물이 꼬리인데 선물시장에 의해 현물이 움직이는 것을 말합니다.가장 큰 건 변동성이 엄청 크다는 것이고 이로 인해 피해보는 사람들이 많고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그 대표적인 사례가 아시다시피 비트코인이죠.이렇게 웩더독이 나오는 상황은 지금과 같은 시장이 굉장히 불안하고 극과극 인 상황에 발생합니다.코로나로인해 엄청나게 풀렸던 자금 시장이 갑자기 금리 5%가 될정도로 확 뒤집어버리니 선물시장은 난리가 나고현물은 상대적으로 엄청난 피해로 인해 떠나가는 사람들이 많아졌죠.이러면 피해는 투자자뿐만 아니라 지탱하는 기업입니다.갑자기 쭉 빠지는 주가때문에 회사가 휘청이고 몇몇 세력들에 의해 빼앗겨서 나중엔 공중분해 되기 쉽상이거든요이처럼 위험하기에 몸통인 현물시장이 잘 버텨줘야하고 그러기 위해선 시장안정화가 필요합니다.언른 인플레이션이 종료되고 적정한 물가와 금리가 왔으면 좋겠네요.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승자의 저주(Winner's Curse)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보통 M&A 할때 많이 쓰는 용어입니다.큰 돈을 들여 인수한만큼 그것을 다시 뽑아먹기 전까지 휴유증으로 약간 가난해질 수 밖에 없거든요.거기에 만약 인수했는데 오히려 가치가 하락하거나 매출이 안나오면 더 큰 손해를 보게되는 것을 말합니다.인수전에 참가해 원하는 회사를 인수했음에도 회사가 오히려 휘청이는 것이죠.
경제동향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금리 인상 계속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고인플레이션 상황에서 물가를 잡을 수 있는 건 사실상 금리 인상하여 화페가치를 올리는 것 밖엔 없습니다.인플레이션상황속에서 경제가 크게 타격을 입으니 지금 금리를 올려 그것을 막으려고 하는 것이죠.금리 인상하게되면 경기침체가 오는 것은 당연하지만 더 큰 붕괴를 막을 수 있기에 시행하는 것이구요.고금리임에도 물가가 안 떨어지고 pce근원소비자물가는 오히려 오르고 있으니 금리인상을 멈출 수 없는 것입니다.
예금·적금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미국의 금리가 0.25올라갔는데 시장은 왜 안좋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시장은 기대심리에 의해 움직이는데지금보면 물가도 안잡혔는데 금융이 한번 타격을 입어서 금리도 막 올리지 못하는데다가 돈으로 막겠다고 나섰으니 5%고금리인데 물가는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지니 공포감이 심해졌기 때문에 미리 발빼는 사람들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만약 이번 돌아오는 pce,cpi,고용지표 등이 잘 안나올 경우 점차 스태그플레이션 얘기가 나올 것이고 진짜 심각해지는 상황이 올 수도 있기에 큰 폭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3월 23일 작성 됨
Q.
미국 금리인상 0.5를 바라보다가 은행파산으로 인해 0.25로 바뀐 경향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수치는 예상보다 낮았지만 문제는 금리인상은 되었고 물가와 금융이 계속 불안하기 때문에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입니다.물가 , 금융 뭐 하나 잡지 못하고 경제에 큰 위기가 초래될 가능성도 생긴 것이 공포지수를 확끌어 올린 것이죠.앞으로 다음에 있을 pce ,cpi 고용지표 등 여러 지표가 어떻게 나오냐에 따라 더 큰 변동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316
317
318
319
3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