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맹거래사 김한 입니다.
김한 전문가
구름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경제동향
2023년 3월 21일 작성 됨
Q.
현재 경제 상황의 위험성은 어느 정도 일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아직은 괜찮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무역수지 적자라고 해도 외환유지도 잘하고 있고운 좋게 동결했는데 미국이 svb사태로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지진 않을 것으로 보이거든요.거기에 cpi도 소폭이지만 감소 추세이니 아직은 괜찮습니다.다만 우려하는건 앞으로인데 물가가 안정화되지 못하고 미국이 만약 금리를 더 올린다면 이제 부터는 심각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지금이 거의 벼량 끝이라고 보시면되거든요.기업이나 은행 가계들이 버틸 수 있는 한계가 전문가들이 보기에 대략 금리로 보면 4.5% 까지라고 보고 있습니다.지금은 다행히도 괜찮은 수준이지만 벼량 가까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경제동향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지금 경제상황에서 연준의 금리인상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부작용은 아무래도 물가상승이죠. 물가가 더 상승하게 된다면 더 큰 고물가에 고금리현상으로 경제가 더욱 안 좋게 갈 것입니다.부작용이 적으면 지금의 고통이 2~3년 길게 가는 것이고 부작용이 크면 심각한 스태그플레이션에 접어들어정말 큰 일날 가능성도 있습니다.연준이 어떻게 나올지 모르겠지만 이번엔 동결로 가고 다음 지표를 지켜보면서 금융위기가 어느정도 해소가 되고 가는게 맞지 않나 생각됩니다.
예금·적금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금리차이가 많이 나는데 환율이 안움직이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격차로 인해 1,300원인 것이구요. 지금도 환율차이 꽤 나는 것인데 금리 격차를 1:1로 보시면 안되는게 전 세계적으로 금리가 미국과 상대적으로 얼마나 떨어져있느냐도 달라집니다.생각보다 복잡한 구조이고 아무리 전문가여도 구체적으론 알 수 없거든요.이제 문제는 한국은 동결했지만 미국이 이번 주 금리를 0.25% 올리면 다시 강달러 기세로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그렇게 된다면 한국도 다음에 물가가 큰폭으로 떨어지지 않는 한 0.25%상승 정도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경제동향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최근 몇년간의 근로소득 확인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홈택스에서 원천징수명세서항목에 들어가시면 지금까지 일하신만큼 소득신고된 명세서 다 보실 수 있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도 왜 따라서 올리나요?짜증나는데ㅜㅜ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리 격차가 벌어지면 한국의 수입물가가 증가되어 무역수지적자 및 경제 상황이 더욱 안 좋게 되기 때문입니다.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수출이 잘 안되고 있는데 수입물가가 줄어들어야 무역적자를 줄이고 물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그런데 금리 격차로 인하여 해외자본이 빠져나가고 물가가 증가되면 결과적으로 생산자, 소비자물가로 이어져 경제에 타격을 입는 것이죠.모든 나라가 그런 것은 아니며 한국과 같은 무역으로 먹고 사는 나라들이 특히 그런 것이고 미국이 세계 경제의 중심이기에어쩔 수 없는 현실입니다.svb 사태가 벌어지고 물가가 높은데 금리도 높고 까딱 잘 못하면 정말 큰 위기가 초래될 수도 있는 상황이라생각보다 고통이 긴 해가 될 것으로 보여지고 심각성을 아셨다면 이번 년은 정말 최대한 돈 아껴쓰고 관리 잘하셔야 합니다.
대출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제가 대출이 많습니다 금리부분질문좀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안타깝습니다. 솔직한 의견을 드리면 금리가 최고점을 찍었다고 하기엔 애매합니다.이번 cpi를 봐야하는데 만약 떨어지지 않으면 0.25%정도는 염두해놓아야 하고cpi가 떨어진다고 한들 현재 금리에서 최소 올해 말까지는 이정도 고금리로 유지될 것입니다.
대출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인플레이션 때문에 미국이 기준 금리를 올렸는데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이게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다음 cpi가 5%대로 와주는 걸 기대하는 수밖에 없어보이는데 혹시나 안떨어진다면 경기침체가 예상인 올해 말까지였는데 더 길어 질 것으로 보여집니다.개인적 대처는 시한폭탄이 만들어지고 있고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라어지간하면 이번 년만큼은 돈 아껴쓰면서 관리 잘하셔서 최대한 현금보유하면서 안전하게 가시는 걸 권유드립니다.
예금·적금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인플레이션과 금리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자세하게 풀어서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 즉 물가가 높다는 것인데 이것은 곧 화폐가치가 낮아졌다는 뜻입니다.화폐가치를 높여야하는데 그것이 금리이죠.자 화폐가치가 낮아지면 무슨 문제가 발생하냐면지금의 시대에서 아무리 많은 돈을 가져도 그지라는 뜻입니다. 극단적으로 설명드리자면만약에 돈의 가치가 한 없이 떨어져서 10억을 줘도 껌하나 살 수없다면?? 현 시대에서 사람이 과연 살 수있을까요?? 먹을 것이 동이 나고 돈으로 불을 떼우는 시대가도래합니다.종이쪼가리에 불과하죠.각종 자리 잡은 도시 시스템이 망가지고 나라가 붕괴됩니다. 식량난으로 인해 각종 강도질, 도둑, 전쟁 등이 벌어지죠. 원시시대로 돌아가는 겁니다.이제 왜 물가상승을 조심하고 화폐가치를 지키는지 대충 아시겠죠??
대출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은행도 망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망할 가능성은 언제나 있습니다.다만 그렇게 호락호락하진 않을 뿐입니다.은행이 망할 경우에는 하나의 은행당 5,000만원입니다.하나의 은행에 1억이 들어가있다면 5천만원만 받습니다. 물론 이자도 없구요.두개의 은행에 5천씩 1억이 들어가있다면 1억 다 받으실 수 있습니다.그래서 분산하려고 5천씩 여러 군데 넣어놓는 것도 몇 억까지는 내 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긴 합니다.
예금·적금
2023년 3월 20일 작성 됨
Q.
금융 불안 여전하지만 미연준 금리 '베이비스텝'에 무게 실리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아무래도 정확한 것은 없으니까요. 연준 마음을 저희는 예측을 할뿐인데원래 3월 초에 파월의장이 매파적인 발언을 하였습니다.다시 물가가 상승하는 것을 보고 빅스텝을 밣을 수도 있다라고 하여 공포를 조장하였고 그때 빅스텝확률이 20% -> 75%까지 치솟았죠.그런데 svb 사태가 터지고 나서 여기서 금리를 더 올렸다가 금융위기설이 돌고 cpi도 0.4% 낮아진 것을 감안할때빅스텝일 경우 어떠한 파장을 불러일으킬지 모르기 때문에파월은 이번엔 동결 혹은 0.25%정도로 보고 관망하며 태세를 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근거로 예측을 하는 것입니다.
316
317
318
319
3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