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자산관리
자산관리 이미지
Q.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이 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는데 왜 금가격은 2.5프로나 떨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금의 경우 글로벌 교역을 하는 재화와 서비스 달리 안전자산이자 투자 대상도 되기 때문에 관세 부과 여부에 관계 없이 시세에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금의 시세는 글로벌 경제와 개별 국가의 현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단기 급락의 이유는 최근 미국 정부가 금괴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면서 공급망 붕괴 우려가 해소되어 단기적으로 급등했던 금값이 차익 실현 매물로 인해 조정받은 데 있습니다. 또한 국내에서는 국제 금 시세보다 과도하게 높은 가격에 거래되던 '김치 프리미엄'이 사라지면서 국내 금값이 국제 시세보다 훨씬 더 크게 하락하는 현상도 나타났습니다.그 밖의 하락 배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공급망 우려 해소 및 관세 리스크 진정 → 단기적으로 급등한 금값의 조정(하락)국내 고평가(프리미엄) 해소로 국제 금값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단기 수급(차익 실현)과 정책 변화에 대한 기대감이 복합 영향을 미침즉, 최근 금 가격 하락은 글로벌 정책 불확실성 해소, 공급망 안정, 국내외 가격 괴리 해소, 금리 및 지정학적 변수 등 복합적 요인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대출
대출 이미지
Q.  연봉 1억 정도 되고 부채가 없다면 마이너스 대출은 어느정도 선에서 받을수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원칙적으로는 현재 기준 DSR은 40%입니다. 즉, 연소득이 1억원이면 마이너스 대출은 4천만원까지 제한됩니다. 연소득 배수 적용은 은행마다 다르나 연소득의 1.5~1.8배까지 적용하는 경우가 있어서 이런 경우 1억원의 연소득을 가정할 경우 6천만원에서 7천만원까지 가능할 수도 있으니 주거래 은행 위주로 한도 조회를 한 번 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 보통가 주문했는데 왜 체결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정가 이상 가격으로 매수 체결이 발생하는 이유는, 주식 거래의 가격·시간·수량 우선 원칙 때문입니다. 매수 주문을 지정가로 넣으면 해당 가격이나 그보다 낮은 가격의 매도 호가가 있을 때 체결되는데, 실제 체결 가격이 지정가보다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주요 원인과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가격우선 원칙: 매수의 경우, 입력한 지정가(예: 10,000원)보다 낮은 매도 호가(예: 9,900원)가 있으면, 더 낮은 가격의 매도 호가부터 체결됩니다. 즉, '지정가 이하' 가격으로도 매수 체결될 수 있습니다.시간우선 원칙: 동일 가격이라면, 먼저 접수된 매도 호가가 우선적으로 체결됩니다. 여러 주문이 경쟁할 경우, 체결은 순서대로 진행됩니다.지정가 주문의 체결 조건: “지정한 가격 또는 그보다 유리한 가격”에만 체결이 이루어지며, 절대 지정가보다 불리한 가격(더 높게)으로는 매수 체결되지 않습니다.동시호가(장 시작/종가 등 단일가매매)에서는 모든 주문을 한 번에 모아 체결하기 때문에 지정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수될 수 있습니다.즉, 지정가 매수 주문은 '내가 지정한 가격 이하'의 모든 매도 호가(수량만큼)와 차례로 체결되므로, 실제 체결 가격이 지정가보다 유리할 때(낮을 때)도 발생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신규 코인이 상장하면 대부분 첫 고점을 찍고 지속적인 하락을 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세칭 상장 빔 이후 대부분의 코인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일종의 패턴인데 새로운 코인에 대한 관심과 단기 매매 수요와 기존 홀더의 매도가 맞물리면서 거래량이 급등하면서 가격 또한 급등하다가 이후 매도가 쌓이고 단기 차익 시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하락하는 패턴입니다. 물론, 상장 가격이 낮거나 미래 사업성이 좋은 코인의 경우 상당 기간 상승하거나 하락 이후 재상승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나 대부분의 신규 상장 코인은 상장빔 이후 하락하는 경우가 많으니 초기 투자 시에는 주의 하시는 게 좋습니다.
경제정책
경제정책 이미지
Q.  주로 어떤 기업들이 돈에 집착하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사실 모든 기업은 존재 자체가 수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모든 기업은 표현이 좀 직설적이긴 하나 돈에 집착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ESG 경영이 주요한 화두이고 자연환경을 훼손하거나 지역 사회에 기여를 하지 못하고 지배구조가 불투명한 회사는 생존이 어렵습니다. 장애인이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일자리 창출도 당국에서 일정 부분 강제를 하고 있고 미실행 시 일정 부분 벌금을 부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개별 기업의 부동산이나 사업적 투자 여부는 주식회사의 경우 이사회나 주주총회에서 결의 하에 진행이 되며 상장사의 경우 최소 분기별 실적을 발표하고 주요한 경영상 이슈 발생 시 공시를 하게 되어 있습니다. 과거와 달리 개별 기업의 전횡을 막기 위한 여러 규제와 법규를 촘촘하게 구비하고 있어 오히려 규제 완화가 최근에는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