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이 금리인하를 단행하면 우리나라도 금리인하를 따라갈 가능성이 높나요?
안녕하세요. 박용준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 인하를 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이해하기 좀 더 쉬우실 겁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금리 결정요소인 경기, 물가, 금융 안정 중에 경기가 너무 좋지 않아 선제적 인하를 해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는 대외 여건과 가계대출 증가(금융 안정) 등의 요인으로 금리 인하를 주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만약 미국이 금리 인하를 단행하면 우리나라도 추후 금리 인하의 여건이 개선될 여지는 분명 있습니다. 한-미 금리차가 줄어들거나 유지될 수 있으니, 환율 안정이나 외화 유출 감소로 금리 인하의 배경이 만들어질 수 있으니까요. 다만, 이것이 좋다 나쁘다 확실하게 판단하기에는 아직 고려해야 할 여건들이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Ex. 관세 부과로 인한 물가 재상승)
Q. 금리인상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그 예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용준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는 돈의 가치와도 같습니다. 당장 최근인 금리가 낮던 코로나 시기 제로금리 때, 자산 버블이 일어났던 이유는 금리가 낮은 상태에서 양적완화로 시장에 유동성이 크게 풀렸기 때문이죠.반대로, 금리 인상을 하게 되면 시장의 유동성이 감소합니다. 대출의 수요가 감소하고, 기존의 대출을 받았던 사람들 및 기업들은 이자 부담이 올라가기 때문에, 기존의 소비나 투자를 줄이게 됩니다. 이는 곧 시장의 유동성 감소로 이어지게 되고, 그만큼 시장에서 돈을 구하기 힘들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돈의 가치가 오르게 되는 것이죠. (금리 상승)
Q. OECD는 왜 올해 한국성장률을 낮게 본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용준 경제전문가입니다.대외적으로, 한국은 수출주도형 국가로,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통상여건 불확실성이 확대되었기 때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대내적으로, 가계부채 수준이 OECD 최고 수준이란 점과, 경기 부진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점이 겹쳤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이번의 소비 쿠폰의 경우, 정부가 재정을 확대하여 내수 소비를 끌어 올리려고 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