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무역을 할때 거래대금을 달러로 많이 사용하던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무역 대금 결제 시 달러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미국 달러가 전세계적으로 기축통화 지위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즉, 미국 달러는 기축통화로서 다른 화폐에 비해 국제적으로 신용도가 높아 다른 화폐에 비해 외환 안정성이 높고, 수수료 등의 부담이 적습니다. 물론, 무역 대금 결제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것은 맞지만, 모든 무역 대금결제가 달러로 이뤄지는 것은 아닙니다.달러 외에도 유로화, 엔화, 위안화 등으로 결제가 이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수출입 대금 결제 통화로 달러의 비중이 83.9%에 달할 정도로 비중이 매우 크며, 그 외에는 유로화 5.9%, 엔화 2.6%, 원화 2.4% 등으로 결제가 이뤄지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Q. 국내 고 물가와 중국 무역수지 적자의 관계는?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1. 무역수지무역수지는 상품의 수출입 거래에서 생기는 국제수지로서, 상품의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액을 말합니다.수출액이 수입액보다 크면 무역수지 흑자라고 하며, 반대로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큰 경우 무역수지 적자라고 보시면 됩니다.예를 들어 우리나라가 외국에 수출한 금액이 100원이고, 우리나라가 외국에서 수입한 금액이 70원이라면 30원의 무역수지 흑자가 났다고 합니다. 반대로, 우리나라가 외국에 수출한 금액이 100원이고, 우리가 수입한 금액이 120원이라면 20원의 무역수지 적자가 났다고 표현합니다.무역수지는 수출의 경우 본선 인도 가격(FOB), 수입은 운임·보험료 포함 가격(CIF)으로 계산합니다.무역수지는 매월 관세청에서 발표하고 있습니다.2. 고물가와 대중 무역적자먼저, 대중 무역적자가 발생한것은 중국으로의 수출이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대중 수출이 감소한 것은 중국 내 코로나 봉쇄로 시장이 침체되고 소비 심리가 위축되어 수요 자체가 줄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미국의 중국 규제 등으로 중국으로의 수출이 어려워진 부분도 있습니다.반면에 대중 수입은 증가했는데, 수입이 증가한 원인에 우리나라의 고물가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고물가로 인해 값싼 물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고 이로 인해 값싼 중국산 물품의 수입이 증가한 것입니다.감사합니다.
Q. 미국 전기차 관련 보조금이 배터리 업체에는 호재이고 완성차 업체에겐 악재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미국 전기차 관련 보조금의 특징은 전기차 세액공제 대상에서 중국산 배터리와 핵심 광물을 사용한 전기차를 제외하고, 미국 안에서 생산·조립된 전기차에만 세제 지원을 한정한다는 점입니다.그렇기 때문에 미국 현지에서 전기차를 생산하지 않는 자동차 업체는 보조금을 받지 못해 현대차와 기아에는 악재로 작용할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반면, 배터리 업체의 경우 미국 내 생산시설을 공격적으로 확장하여 보조금을 받을 수 있으며, 법안이 시행되면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CATL 등 중국산 배터리는 미국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중국 경쟁사 견제에 따른 반사 수혜를 누릴 수 있어 호재라고 보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