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 글씨체와 건축의 변화 양상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국보와 보물 선정의 기준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글씨체는 초반에는 고려시대 문체를 계승했지만, 이후에는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서체'가 대표적인 글씨체로 자리 잡았다.조선시대 건축은 고려시대 건축양식에서 발전하여 기단을 높이 쌓고 규모가 큰 건물을 중시하는 등의 특징을 가졌다.국보는 대한민국의 국민적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문화재이며 보물은 국보보다 더욱 가치가 높은 문화재를 의미하며 선정 기준은 보유자의 신청, 문화재청의 평가 및 심의, 국회의원 추천 등을 통해 결정된다.
Q. 원 간섭기의 사회변화 중에 신분 상승사례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 후기의 원간섭기 이후에는 하층 신분 출신인 사람들의 신분 상승 사례가 많았습니다.이는 벼슬문 개방, 지방 관리 개혁, 속인지 방지 체계 강화 의전과 동경회 등의 지원, 농경 생산 기술 고급화, 민생을 위한 정책 등의 변화로 인해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하층 신분 출신인 사람들이 더 많은 기회와 지원을 받아 신분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