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동물들이 사람들의 기쁨과 슬픔을 구별할 정도라면 지능이 어느정도 이상이 되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사람의 감정을 구별하고 반응할 수 있는 동물은 개, 고양이, 돌고래, 코끼리, 앵무새, 까마귀, 침팬지 등 사회성과 학습 능력이 뛰어난 고등 포유류나 일부 조류가 있습니다. 이는 타인의 행동을 해석하는 사회적 인지와 공감 능력, 기억력 등의 인지 기능이 일정 수준 이상 발달했기 때문으로, 뇌의 복잡성과 뉴런 수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Q. 멸종된 동물 칼리코테리움은 지금 살아있는 동물들 중에서 주로 어떤 동물에 가까웠나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칼리코테리움은 말처럼 생긴 머리, 영양처럼 윗턱에 앞니가 없는 이빨 구조, 고릴라나 침팬지처럼 발등으로 걷는 보행 방식, 그리고 개미핥기나 나무늘보를 닮은 굽은 발톱을 가진 매우 독특한 고대 동물로, 여러 현생 동물의 특징이 혼합된 모습이었습니다. 화석이 유럽과 아시아에서 따로 발견되어 복원이 어렵지만, 말과 유인원, 개미핥기의 특성을 모두 지닌 동물로 추정되며 현생 동물 중 하나와 직접적으로 같지는 않지만 복합적인 유사성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Q. 강아지 입가 부분이 붉게 달아올라있음+긁음+발사탕 등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입가 피부가 붉고 탈모·가려움·발 핥기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것은 단순 피부 건조보다는 알러지, 아토피, 혹은 세균·곰팡이 감염 등 피부 질환일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여름철 습한 환경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식이와 목욕 관리도 잘 해주고 계시지만 알러지는 새로 생기거나 악화될 수 있어, 피부 상태에 따라 정확한 진단(피부 스크래치 검사, 진균 검사 등)을 위해 동물병원 진료가 꼭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Q. 네프론 원리 실험 속 과정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이 실험에서 시린지 필터를 거친 포도당 용액이 투명해지는 이유는 포도당이 걸러진 것이 아니라 염료나 불순물 같은 입자가 제거되었기 때문이며, 포도당은 분자 크기가 작아 필터를 통과합니다. 이는 네프론에서 포도당이 여과는 되지만 정상적으로는 재흡수되어 소변에 나타나지 않는 원리와 연결되며, 실험을 확장할 때는 단백질 용액을 통한 여과 비교, 당뇨 모의 소변을 활용한 포도당 검출, 흡수재를 이용한 재흡수 모형 실험 등을 통해 네프론의 여과와 재흡수 개념을 보다 명확히 비교 및 대조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