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 내수경제는 현재 어떤 상황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한국은 스태그플레이션에 다소 가까운 상황으로 보입니다. 공식 소비자물가상승률은 2024년부터 현재까지 2-3%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치인 2% 근처에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생활에서 느끼는 물가 상승은 훨씬 가파른데, 이는 생활필수품 가격이 선별적으로 크게 올랐으며 실제로 생활필수품의 물가지수는 2~3배이상 오른것으로 이미 통계나 언론에서도 많이 나온 상황입니다. 이런 배경에는 기후변화로 인한 작황 부진, 조류독감 등 질병 확산,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사과, 배추, 양파 같은 기본 채소와 과일 가격이 30-50% 이상 오르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생선류도 어획량 감소와 유류비 상승 등으로 가격이 크게 올라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급증하면서 농수산물 가격이 크게 상승한것입니다. 외식비와 서비스업 가격도 지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 임대료 상승, 원자재비 증가가 맞물리면서 음식점, 미용실, 택시비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 가격이 꾸준히 올라가고 있어, 실제 생활비 부담은 공식 통계보다 훨씬 클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그러면서 국내 내수소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그러면서 국내의 내수 경기가 살아나지 못하는 환경인 침체와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는게 문제입니다.
Q. 글로벌 투자자금의 주체는 누구를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헤지펀드는 다양한 투자전략(공매도, 레버리지, 차익거래 등)을 사용하여 시장 상황과 관계없이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펀드형태로 주로 월가의 대형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펀드구조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운용사로는 브리지워터, 시타델, 맨 그룹등이 있습니다. 사모펀드도 결국 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펀드로서 공모형태가 아니라 사모형태로 개별적으로 자본을 유치받아서 자산운용사가 운용하는 개념으로 주로 비상장 기업에 투자하거나 혹은 부동산과 같은 자산을 매입하거나 아니면 상장기업을 인수하여 가치를 높인 후 매각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추구합니다. KKR, 블랙스톤, 칼라일 등이 대표적인 자산운용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