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배현홍 전문가
이상그룹 경영기획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주식·가상화폐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삼성증권의 tr상품을 가지고있는데 자동재투자가 분배금으로 변경된다고 하는데 특별히 해야할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TR상품은 올해 아예 사라지기 때문에 굳이 다시 찾을 이유도 없고 기존 상품도 보유해도 됩니다기존 상품은 올해 배당이 나올 분기시점에 재투자가 안되고 고객계좌 배당이 분배되는 형태로 바뀌게 됩니다
경제정책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물가는 도대체 왜 오르는거에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일반적인 자본주의 경제는 물가는 무조건 오릅니다 그 이유는 경제가 매년 성장하는 일반적인 경제구조라면 통화공급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뒵니다 통화공급량이 늘어나는 만큼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이로 인해 소득이나 자산 재화 서비스 가치 모두성장하고 부채도 그만큼 커지는게 자본주의 경제입니다즉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때에따라 공급변동이나 수요변화에 따라 일부재화의 물가변동성이 커지기도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미국주식으로 배당주 투자를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주식중 배당수익률이 무조건 높은 기업보다는 장기적으로 해당기업이 안정적으로 과거 10년이상 매년 매출과 이익성장이 일정하고 매년 배당이 늘어나는 배당성장주에 투자를 하는게 더 좋습니다
자산관리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미국달러를 배당으로 받으면 가지고 있는게 나은가요? 아님 환전하는게 나을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보통은 달러로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배당성장주 즉 배당이 지속성장하는 기업에 다시금 재투자하여 배당현금흐름을 늘리는 투자를 하는 형태도 좋은 방법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자녀의 디즈니 주식을 정리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디즈니는 미래성장성은 딱 두가지입니다 디즈니플러스가 현재 더이상 정체인데 다시금 넷플릭스를 빠르게 따라잡을수있느냐가 핵심입니다두번째는 콘텐츠로서 다시금 디즈니 핵심 IP가 늘어나고 이런 IP를 활용한 콘텐츠자산이 늘어나고 이를 통한 엔터가치밸류가 증가하는게 핵심입니다이 부분의 성장성과 미래 가치가 엔비디아나 마이크로소프트등 미국 빅테크회사의 AI모델보다 성장성이 높다고 판단을 하는지에 따라서 정리매매 하리 보유할지 필요해보입니다
경제정책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정부가 추경을 편성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정부의 역할은 기본적으로 최종적으로 국내 경제를 부양하고 분배하는 역할이 핵심입니다일반적인 구조는 세수를 걷어들여 소득분배가 일반적이며 그리고 중요한 기능이 정부의 재정정책입니다 즉 경제지표에서 재정을 통한 성장이 있고 이런게 과거 뉴딜정책도 이런요소입니다해당 정책은 각국 정부가 국채를 신규로 발행하여 추경예산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서 국내 내수 투자 보조금이나 내수부양을 위한 여러정책이 재정지출로 인한 성장이고 부양책입니다
주식·가상화폐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미국 급등주는 어떻게 거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급등주라고 해서 다시 큰폭으로 하락한후 다시 전고점을 돌파못하는경우도 많습니다과거 사례에서도 이런 경우는 매우 많고 과거 코로나 이후 미국의 여러 플랫폼이나 스타트업기업들이 이런 90프로이상 장기하락추세를 맞은 기업도 수두룩해서 해당 법칙이 일반화되는 논리는 맞지 않습니다
경제동향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물가 상승이 되면 유리한 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자본주의 경제학에선 신용이라는 부채를 이용하고 이를 레버리지로 활용해서 투자와 빠른 경제 성장이 이루어지는 모델입니다이런 과정에서 소득이 증가하고 자산가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자산이나 재화 서비스가 증가하며 통화공급이 늘어나는게 당연한 결과입니다 즉 일반적인 경제성장에는 물가 소득이 다 증가하는것이며 이런 물가상승보다 부채를 활용하여 경제 소득 자산증식이 더 빠르게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즉 점진적인 물가상승은 소득성장 자산성장이 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가증가하는 현상으로 보면 됩니다
경제용어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M1과 M2 화폐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자본주의 경제학에선 신용창출이 기본이고 중앙은행에서 최초로 유동성이 공급되는 본원통화가 신용창출기능으로 시중의 화폐유동성이 증가합니다. 이에 M1 현금유동성이 가장 높은 자산으로서 평가하며 보통 현금이나 요구불예금 또한 바로 즉시사용할 수 있는 CMA도 포함됩니다.M2는 이보다 좀더 넓의 범위의 통화로서 M1보다 유동성이 떨어지는 통화공급자산으로 보시면됩니다 M1에 포함된 자산 이외에 추가적으로 만기가 긴 2년미만의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 금융채등을 말합니다
예금·적금
2025년 2월 1일 작성 됨
Q.
예적금 금리보다 대출 금리가 보통 높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기준금리는 중앙은행에서 정한 기준금리이며 이는 초단기금리이고 은행의 금리와는 다릅니다. 한국은행은 시중은행과 거래하는 기관이며 시중은행이 차입할때 초단기물인 ( 현재 국내는 7일물 RP금리 ) 기준금리로 정해져서 차입을 하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시장금리인 국채나 그리고 은행의 예금이나 대출금리에 영향을 주는 코픽스 금리와 금융채5년물은 시장금리이고 보통 해당 금리 같은 경우는 국채금리에 가산금리가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구조입니다. 은행의 가장 기본 수익구조는 예대마진입니다. 이는 자율적으로 은행이 정해져서 적용시키고 이런 예대마진수익 극대화를 위해서 예적금금리보다 대출금리가 높아서 이에 차이만큼 은행의 비즈니스가 수익이 나는것입니다
691
692
693
694
6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