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일부 언어는 소리가 비슷하지만 왜 의미가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언어는 약속이기 때문입니다.한국어는 한자사용에서 한글 사용으로 넘어가며 원래는 구별되던 단어들을 구별할 수 없게 되어서,동음이의어가 좀 많아지긴 했지만다른 나라에도 동음이의어나 동음반의어(이의어 중에서 서로 완전 반대되는 뜻인 것)정도는 흔히 있습니다하지만 이런 단어들이 원래는 혼란스럽지 않은 것은사람 문맥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죠다시 말하지만 언어는 약속입니다즉, "A라는 단어는 zz할때는 a라는 뜻이지만 xx할때는 A라는 뜻이다" 라는 약속또한우리는 무의식 적으로 배워서 알 고 있습니다한국어가 모국어인 사람은 은/는/이/가 를 의식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없죠?왜냐하면 무의식적으로 어쩔때 [은]이 붙고 언제 [는]이 붙는지 알 고 있기 때문입니다이것을 문맥 이라고 하는 거죠다만, 이것은 무슨 동물적 본능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배워서 알게되는 교육의 산물이기 때문에본적 없는 단어까지 문맥을 알기란 어렵습니다
Q. 사람은 소설 속 인물에게 왜 감정 이입을 할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사람은 상상과 공감의 동물입니다자동차 앞부분만 봐도 얼굴이 연상되고같은 종족이 아닌 유기견을 봐도 동정심을 느낄 수 있는 것이 둘은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느끼고 이해하는 공감을 하게 해주고이런 공감을 잘한다는 점이 사람의 사회를 이렇게 크게 만든 큰 이유입니다소설이던 영화던 이게 허구라고 알고 있다는 것은 물론 공감을 방해하긴 하지만납득이 가는 내용, 이해할 수 있는 감정이 있다면 사소한 차이에 지나지 않습니다앞서 말했듯, 인간의 공감력은 종의 구별도 뛰어넘을 정도로 강하니까요오히려, 허구라서 현실의 한계가 없기 때문에 일어나기 어려운 이야기도 얼마든지 즐길 수 있고예측못한 반전들도 나올 수 있습니다. 내가 갈수 없는 시간과 장소에서나는 할 수 없는 일을 하는것내가 모르는 세계에 대한 신기함과 동경지루한 현실을 향한 일탈과 저항선호하는 유희나 자극을 쉽게 겪을 수 있음이런 요소들이 사람들이 이야기를 찾는 이유입니다.
Q. 소설의 모더니즘의 특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모더니즘이 전통적인 작품과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는 것은 바로 관점이나 시점입니다모더니즘은 그때까지의 전통적인 가치가 모두 무의미하다 판단해 그것을 벗어나려는 시도였기 때문에문학의 사회적, 도덕적 역할 보다는 예술성 그 자체에 집중하여 매우 개인적이고 미시적인 주제가 자주 나왔으며시간순서, 전지적 작가 시점등의 알기 쉬운 형식에서 벗어나시간순서를 마구잡이로 꼬와 보거나, 각 장마다 다른 화자가 나오거나 하는 등의식의 흐름 기법 같은 실험적인 시도를 많이 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