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세돌이 지나도 말을안해요 어떤문제가 있는건가요?
아이가 세돌이 지났는데도 말을 하지 못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언어 지연 가능성을 점검해보면 좋겠습니다. 청력 이상 여부, 눈맞춤 상호작용에 어려움, 놀이의 다양성, 발성 활동(옹알이나 발성, 의사 표현을 위한 몸짓이나 소리)만 36개월이 지나도 단어가 전혀 없거나 말 대신 소리도 거의 내지 않으며 상호작용이 적을 때또래와 비교해서 의사소통 행동 자체가 거의 없는 경우라면 전문가와 상담을 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Q. 아이들이 패드를 활용한다고 하면 교육적인 부분에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개정교육과정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도입된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아이들에게 패드는 의상과 같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아이의 창의력과 표현련을 키우기 위해서 디지털 그림 그리기 앱, 음성 녹음기와 이야기 만들기인터랙티브 동화책 앱 활용, 단어 카드 앱으로 어휘 강화한글 따라쓰기 앱, 영어 노래와 게임 앱 활용숫자 놀이 앱, 퍼즐과 브레인 게임 등의 수학 및 논리 사고를 키우는 활동도 있습니다.
Q. 일생 생활 어휘는 어떻게 습득하게 하는게 좋은건가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어휘를 습득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한 독서습관과 가족과의 대화를 통해서 꾸준히 어휘를 습득할 수 있겠습니다. 동물원, 박물관, 도서관, 시장, 미술관 등 다양한 장소에 가면 새로운 단어를 만날 기회가 생깁니다. 이러한 활동들도 아이의 어휘 습득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 자꾸 벌레가 있다는아이(헛것) 어떻게 해야할지요.ㅇ
거미에 대한 공포가 아이의 감정에 깊이 자리 잡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럴 때는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점진적으로 두려움을 완화시켜주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부모로써공감과 안정감 제공, 거미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노출(거미를 귀엽게 표현한 그림책이나 애니메이션 보여주기), 점진적 노출법, 두려움을 표현할 기회주기, 반복적인 놀람이 심할 경우에는 전문가와 상담을 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Q. 아이가 숫자와 글자에 흥미를 보이지 않는데 일상 속 자연스러운 학습법이 있나요??
아이가 숫자와 글자에 별 흥미를 느끼지 않아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놀이와 일상 속 경험을 통해 즐겁게 접하게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숫자 노래 활용, 생활 속 숫자 세기, 숫자카드게임, 블록놀이, 숫자찾기놀이글자에 관심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시각적 자극 활용, 알파벳 노래와 게임, 일상 속 글자 노출(책 읽기, 이름 써보기, 간판 읽기 등), 반복과 칭찬, 자석 글자놀이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