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세돌이 지나도 말을안해요 어떤문제가 있는건가요?
아이가 세돌이 지나도 말을안해요 어떤문제가 있는건가요? 대충 의사소통은 가능한데 말을 아예 하지못합니다 무슨문제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지금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나요? 다니고 있다면 다른 친구와 의사 소통은 되는지요
내성적이라 말수가 없는 것인지 언어 발달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알아야 합니다
아이마다 언어의 발달 능력은 다릅니다
발달은 늦어 나중에 말문이 터져 말을 잘 하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아직 세돌이라 지켜 볼수는 있지만 만약 언어 발달에 문제가 있는 경우라면 나중에 낭패를 볼수 있어요
언어 상담을 받아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단순하게 아이의 언어 발달이 늦는 것이라면 별 문제가 없지만 발달이 늦은 것이 아니라
말하는 것이 문제가 있다면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는 빨리 받을수록 효과가 좋기에 상담을 받아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아이가 세돌이 지났는데도 말을 하지 못하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언어 지연 가능성을 점검해보면 좋겠습니다.
청력 이상 여부, 눈맞춤 상호작용에 어려움, 놀이의 다양성, 발성 활동(옹알이나 발성, 의사 표현을 위한 몸짓이나 소리)
만 36개월이 지나도 단어가 전혀 없거나 말 대신 소리도 거의 내지 않으며 상호작용이 적을 때
또래와 비교해서 의사소통 행동 자체가 거의 없는 경우라면 전문가와 상담을 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세돌이 지난 아이가 말을 하지 않는 경우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만 3세가 넘어서도 단어나 문장으로 말하지 못한다면 언어 발달 지연이나 발달 장애 가능성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청력이나 발성기관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회성이나 인지 발달 등 다른 영역에 문제가 없는지도 함께 살펴봐야 합니다. 만약 의사소통은 몸짓 등으로 가능하고 사회성이나 인지 발달에는 큰 문제가 없다면 단순한 언어 지연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또래보다 말이 확연히 느리다면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세 돌이 지났는데도 말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 언어 발달 지연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의사소통이 어느 정도 된다 해도(손짓, 눈치, 행동 등) 또래보다 언어 표현이 크게 늦다면 청력 문제, 발달지연(자폐 스펙트럼 포함) 등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너무 겅정만 하지 마시고 소아청소년과나 언어치료 전문기관에서 언어발달 검사를 받아보는 것을 권합니다.
안녕하세요.
세 돌이 지난 아이가 아직 말을 하지 않는다면, 조금 더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아이가 몸짓이나 표정 등으로 의사 표현을 하고 있다면, 의사소통 능력 자체가 없는 건 아닙니다. 다만, 이 시기에는 보통 단어를 말하거나 간단한 문장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금 더 천천히 말을 시작하는 아이일 수도 있고, 말로 표현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지금 상황에서는 아이의 발달을 점검하는 게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소아청소년과나 아동심리센터 등의 발달 관련 상담 기관을 찾아서 아이의 현재 상태를 함께 점검해 보는 걸 권해 드립니다. 특히나 청력, 주의 집중력, 상호작용 방식, 언어 발달 정도 등을 함께 살펴 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아이가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자라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걸 스스로도 느끼는 것입니다. 아이마다 속도가 다를 수 있으니 따뜻한 관심과 안정된 환경 속에서 격려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