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송신애 전문가
누리유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아기 떼쓰면 바로 달래는 게 맞을까요?
19개월 아이가 떼를 쓸 때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가 봅니다. 19개월 아이는 양육자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훈육의 효과가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부모가 아이의 마음을 대신 말로 표현하면서 이야기하는 것으로 훈육을 대체하면 좋겠습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아이들 감정 기복 부모가 너그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아이의 감정 기복이 심할 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좋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울지 말고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양육·훈육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아이가 흠흠흠 이러는거 치료받으면 좋아지나요?
아이가 '흠흠흠'과 같은 음성틱장애 진단을 받았을 때 어떻게 치료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행동 치료, 약물 치료, 음성언어치료, 심리치료 및 스트레스 관리, 한의학적 접근, 가족의 이해와 지지와 같은 치료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틱의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호전된다고 합니다. 증상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사춘기 딸의 교육을 어떻게 시켜야 할까요.
사춘기 딸을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사춘기는 여러모로 변화가 많은 시기인만큼 마음을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유아교육
약 2개월 전 작성 됨
Q.
아이가 어떻게 하면 공부에 흥미를 느낄 수 있을까요?
아아기 공부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공부를 놀이처럼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관심사와 연결하기, 작은 목표와 보상 설정, 실생활과 연결된 학습,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 루틴 만들기 등이 있습니다.
126
127
128
129
1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