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밥 안먹고 군것질만 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가 밥은 먹지 않고 군것질만 하려고 할 때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먼저 '밥을 먹지 않고 간식을 먹을 수 없다'는 원칙을 세우는 것이 좋겠습니다.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밥 먹는 시간을 즐겁게 만들기, 군것질 제한 및 규칙 설정, 식사를 재미있게 만들기, 아이와 함께 식사 준비하기, 부드럽게 이유를 설명하기 등이 있습니다.
Q. 엄마만 집착하면서 너무 좋아하는 아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유치원에 다니는 5세 아이가 지나치게 엄마에게 집착할 때 어떻게 하면 좋을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먼저 아이가 엄마에게 집착하는 이유를 살펴보면불안감, 안정감 추구, 관심 끌기, 발달 단계 등입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점진적 거리 두기, 규칙적 일과 제공, 다른 사람과의 관계 강화하기, 칭찬과 격려, 감정 이야기하기 등입니다. 엄마로서 아이의 집착을 이해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아이의 심리적인 안정과 독립심을 기르는데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Q. 아이가 자기 그림을 자꾸 찢는데 왜 그런 걸까요?
초등학교 2학년 아이가 자기가 그린 그림을 자주 찢는데 왜 그런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의 행동은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 원인을 살펴보면완벽주의, 좌절감, 감정표현, 주의집중, 창작 과정의 일부 등입니다. 양육자가 아이의 행동을 잘 관찰하고 행동 뒤에 숨겨진 감정을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나누면서 왜 찢는건지, 어떤 기분을 느끼는지를 이야기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Q. 동생을 때린 아이 어떻게 벌을 주어야 할까요?
초등학교 2학년 아이가 동생을 주먹으로 때려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행동을 다그치기에 앞서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보통 첫째 아이들이 둘째가 태어나면 질투를 많이 하고때로는 때리거나 괴롭히기도 합니다.혼자 있을 때는 어른들의 관심이나 사랑을 독차지 했지만, 둘째가 태어남으로 관심과 사랑이 동생에게 향하게 됐기 때문입니다.우선은 동생이 태어났지만 변함없이 너를 사랑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해줘야 합니다.그러기 위해서는 동생이 안아주거나 뽀뽀를 할 때 '○○야 동생 좀 안아봐도 될까? ○○야 동생한테 뽀뽀해줘도 될까?' 확인을 받는 것고 행동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첫째가 기분이 좋을 때 '엄마, 아빠가 동생만 예뻐해주는 것 같아서 많이 속상했지? 동생은 아직 어려서 엄마, 아빠의 돌봄이 많이 필요해서 그런거였어. ○○도 어렸을 때 그랬거든. 동생이 태어났지만, 엄마 아빠는 변함없이 ○○를 사랑한단다. 사랑해~' 이렇게 말해주며 꼬옥 안아주면 아이의 마음이 한결 풀릴 것입니다.첫째가 있는 곳에서 둘째를 예뻐해줄 때 첫째의 마음이 어떨지를 헤아려줄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