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냉방병에 대해서 알고 싶엇요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냉방병은 냉방 중인 사무실이나 집 등에서 오랜 시간 머물 때 나타나는 가벼운 감기, 두통, 근육통, 권태감, 소화불량 등의 임상 증상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엄밀한 의미에서 의학 용어는 아닙니다. 냉방병은 신체 기능이 여름 온도에 적응된 상태에서 지나치게 차가운 환경이 오랫동안 지속될 때 우리 몸이 기온 차이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여 발생합니다. 실내외 온도 차가 58℃ 이상 되는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말초혈관의 급속한 수축을 동반한 혈액 순환의 이상 및 자율신경계 기능의 변화 등이 발생하여 냉방병 증상이 나타납니다. 특히, 고혈압, 당뇨병, 심폐 기능 이상, 관절염 등 만성 질환이 있는 사람들이 냉방병에 취약합니다. 냉방병의 증상으로는 뇌의 혈류량이 감소하여 어지럽고 졸릴 수 있으며,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운동이 변화하여 소화불량, 복통, 설사 등 다양한 위장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근육 수축이 불균형하여 근육통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호르몬 이상 때문에 생리가 불규칙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얼굴과 손, 발 등에 냉감을 느끼고, 얼굴이 화끈거리며 가슴이 두근거리기도 합니다. 체내에서 열을 보충하기 위해 계속 열을 생산하기 때문에 쉽게 피로를 느끼며, 일부 환자는 잘 낫지 않는 감기 증상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냉방병은 여름철에 장기간 냉방에 노출된 후 이러한 증상들이 발생하면 진단할 수 있으며, 증상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될 경우에는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레지오넬라증을 감별하기 위해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레지오넬라증은 에어컨 냉각수에서 레지오넬라균이 번식하여 에어컨 공기를 통해 퍼져 발생하는 질환으로, 특히 면역 기능이 약화된 사람에게 잘 나타납니다. 냉방병의 증상은 대부분 냉방 환경을 개선하면 호전되지만,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경우 각각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고열, 기침, 근육통 등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경미한 증상의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며, 냉방 기구 사용을 중단하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며 휴식을 취하면 호전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열, 기침, 근육통 등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온도의 변화에 대한 신체 조절 능력은 5℃ 내외로,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를 5℃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아무리 더워도 온도 차이가 8℃를 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외부 온도가 23℃ 이하일 때는 1℃ 낮게, 26~27℃일 때는 2℃ 낮게, 28~29℃일 때는 3℃ 정도 낮게, 기온이 30℃일 때는 4℃, 31~32℃일 때는 5℃, 33℃가 넘으면 6℃ 정도 낮추는 것이 적당합니다.
Q. 여자 배꼽밑에 오른쪽 아랫배에 혹같은게 만져지는데 뭘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사진상으로는 왼쪽 아래인데 오른쪽 아래라고 말씀하셔서 명확히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여성의 경우 난소나 난관의 이상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난소 낭종이나 난관의 염증 등은 만져지는 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대개 통증이나 생리 주기와 관련된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탈장도 가능성 중 하나입니다. 탈장은 장기나 조직이 복벽을 통해 돌출되는 현상으로, 배를 만졌을 때 부드러운 덩어리로 느껴질 수 있으며, 눌렀을 때 들어가기도 합니다.지방종이나 림프절 비대 등의 양성 종양도 해당 부위에 혹처럼 만져질 수 있습니다. 이는 대개 통증이 없고, 크기가 변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Q. 급격한 체중감소, 피로감, 림프절 멍울, 만 22세 남자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림프절 부종과 체중 감소, 피로감 등은 림프계 질환, 감염, 염증성 질환, 또는 혈액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성 질환, 예를 들어 바이러스 감염(이나 만성 감염도 이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정신적 스트레스나 불안이 신체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림프절의 부종은 주로 신체적 원인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실시한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더 심층적인 검사, 특히 림프절 생검이나 혈액 질환 관련 검사(혈액 검사 포함), 폐와 골반 CT, PET 스캔 등 추가적인 진단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Q. 장염으로 인한 복통, 등 당김 원인을 가르쳐주세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장염은 소화관에 염증을 일으키며, 복통, 설사,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장염이 있으면 소화기관의 염증과 팽만으로 인해 주변 근육과 신경에 영향을 미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통증이 등까지 퍼질 수 있으며, 이는 장염으로 인한 복부 근육의 긴장이나 염증이 등 근육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등이 당기는 느낌은 복부 팽만과 복통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장염이나 소화 문제로 인해 복부 근육이 긴장하면, 이 긴장이 주변 근육과 연결된 등 근육에도 영향을 미쳐 당김이나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화기관이 염증이나 자극을 받을 때 자율신경계가 반응하여 등 근육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