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양녕대군은 왜 왕이 되지 못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양녕대군이 왕이 되지 못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첫째, 학문과 국정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습니다.그는 왕세자로서 유학과 정치 공부를 해야 했지만 그는 이를 게을리했습니다. 또한 과거를 준비하는 대신 사냥, 유흥, 예술을 즐겼고, 신하들과 어울리는 걸 싫어했습니다.둘째, 그는 권위를 싫어하고 자유로운 삶을 추궇함으로 왕세자의 품격이 부족했습니다.그는 공식 석상에서도 신하들에게 장난을 치고, 무례한 행동을 보였다고 합니다.당시 양녕대군의 아버지였던 태종은 "이 아이가 조선을 책임질 인물이 맞는가?"라는 고민을 하게 되고 결국 태종은 장고 끝에 폐세자 결정을 내리게 됩니다.
Q. 신문왕 때 일어난 김흠돌의 난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김흠돌은 신라 중대의 왕권 강화 과정에서 일어난 정치적 사건의 중심 인물로, 그의 반란은 당시 권력 구조와 정치적 갈등을 반영합니다. 김흠돌의난은 신문왕(681~692) 초기인 681년에 발생했으며,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배경이 있습니다.1. 왕권 강화와 귀족 세력의 반발신문왕은 즉위 후 왕권을 강화하려는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신라 중대에 들어서면서 왕권은 전제화되기 시작했고, 귀족들의 권한을 제한하려는 시도가 많았습니다. 김흠돌은 신라의 강력한 귀족 가문 출신으로, 이러한 왕권 강화에 반발한 귀족 세력의 대표로 볼 수 있습니다.2. 김흠돌 가문의 정치적 영향력김흠돌은 왕족과 혼인 관계를 맺으며 강력한 정치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의 딸은 신문왕과 혼인했으나, 신문왕이 왕권 강화를 위해 김흡돌 일족을 견제하면서 갈등이 격화된 것으로 보입니다.이후 반란은 신속히 진압되었고, 김흠돌은 처형당했으며, 그의 일족과 반란에 가담한 귀족들도 대거 숙청되었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신문왕은 중앙집권 체제를 더욱 강화했으며, 귀족 세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공고히 했습니다.김흠돌의 난은 신라 중대의 정치적 전환점으로왕권 강화와 귀족 세력의 몰락을 상징하는 사건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