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역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역사 전문가입니다.

이동광 전문가
카이로스 아카데미
역사
역사 이미지
Q.  18세기의 인구증가율이 둔화된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18세기 후반부터 인구가 정체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19세기는 기후학적으로 볼 때 전세계적으로 '마지막 소빙기'에 해당되어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한 시기였습니다. 이로 인해 홍수 혹은 가뭄 등재해와 기근이 빈발하게 되었고, 그것이 인구 및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 것있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구한말이라고 부르는 기준점이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구한말"은 조선 시대 말기인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까지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엄격하게는 대한제국 시대만 일컫는 어휘지만,뜻이 확장되어 국호를 바꾸기 이전인 조선 말기까지 통틀어 일컫는 데 쓰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화기와도 상당 부분 겹치기도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후백제와 후고구려 중 어느 나라가 건국 선포를 먼저 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후백제는 900년, 후고구려는 901년에 각각 건국되었습니다. 즉 후백제가 먼저 건국되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주도의 용두암에는 어떤 전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용두암의 전설에 관해서는 아래와 같은 이야기가 전해 내려옵니다. 제주 용담동 바다 깊은 곳에 용이 되고 싶은 이무기가 살고 있었습니다. 긴 세월 용이 되고 싶은 꿈만을 키우며 어둠을 이겨내고 있었습니다. 바람이 얼마나 간절하던지 천 년이란 세월도, 빛을 볼 수 없는 어둠도 모두 이겨내었는데, 그 승천하던 날. 드디어 번쩍이는 푸른 빛 비늘과 길다란 수염, 그리고 날카로운 발을 치켜들고 하늘로 기세등등 승천하는데 그만 한라산 신이 쏜 화살에 맞아 다시 바다로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바다에 떨어지던 용은 긴 세월 참고 참은 바람이 물거품이 됨에 억울하여 차마 죽지 못하고 머리를 바다 위로 치켜들어 포효를 하다 바위가 되고 말았다는 전설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은 언제부터 와사비를 만들어 먹었나요. 우리나라말로는 고추냉이라고도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일본인들이 와사비를 처음 먹기 시작한 시기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혹자는 조몬시대(약 1만2000년~기원전 3세기)부터 약용으로 먹기 시작했다고 하지만, 와사비에 대한 내용이 처음 발견된 것은 아스카 시대(6세기말~701년) 유적에서 입니다.이어진 나라시대(710년~794년)의 에서도 '山葵(와사비)'의 이름을 찾을 수 있는데, 와사비가 특산품으로 이미 납부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헤이안시대(794년~1185년) 때는 식물 의학 사전에 '와사비'라는 단어가 나오고, 율령 세칙 품목에 와사비가 언급돼 있는 것을 봐서는 10세기경에는 와사비가 약용과 세금용으로 쓰이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와사비를 식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가마쿠라시대(1185년~1333년)에 들어서 입니다. 이 시기에는 쇼진 요리(精進料理, 고기를 사용하지 않는 채소 요리)가 발달했는데 여기에 와사비가 함께 나왔다고 합니다. 불교 선종의 절을 중심으로 자생 와사비를 채취해 요리에 이용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시오니즘이 태동했던 시기가 언제였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시오니즘이라는 단어 자체는 1893년 빈의 유대인 대학생 지도자 나탄 비른바움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19세기에 민족주의 열풍이 불면서 시오니즘도 유대인 사회에서 새로운 근대적 의미를 갖게 됩니다.이후 드레퓌스사건에 깃들어있는 반유대주의의 뿌리깊은 앙금을 목격한 유대계 오스트리아 기자 테오도르 헤르출의 제창에 의해 국제 시오니즘 협회가 창설되고, 당시 오스만 투르크 제국의 영토였던 팔레스타인 지역으로 의 이주를 원하는 이들이 조금씩 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코민테른은 언제 창설이 되어서 언제 해체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코민테른은 블라디미르 레닌의 발기에 의해1919년 3월 창설되었습니다. 목적은 각국 공산당들사이의 연계를 강화하고 활동을 통일적으로 지도함으로써 자본주의제도를 전복,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통한 공산주의의 완전한 건설이었습니다. 또한 1국1당주의에 따라 각국에 지부를 두었습니다.하지만 30년대 중반 이후, 스탈린의 공포정치와 대숙청등으로 소련 체제의 잔인성이 알려지면서 코민테른의 인기 역시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1939년 독소 불가침조약이 조인되면서 코민테른의 정당성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게 됩니다. 결국 1943년 5월 15일 스탈린에 의해 해체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발칸반도를 유럽의 화약고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발칸반도는 지정학적으로 대륙의 교차로이므로 슬라브족이나 밑에 있는 아랍,독일의 게르만이나 이탈리아의 라틴 민족 간에 서로 부딪힐 확률이 많습니다. 이런 이유로 종교 분쟁이나 민족분쟁이 많이 발생하여 화약고라는 명칭이 붙게 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 노비해방운동을 일으킨 만적은 어느 집의 노비였나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고려사》 최충헌 열전에서 만적의 주인을 명시하지 않은 채 그저 '사노비'라고만 기록했기에 당시 무신 집권자였던 최충헌의 노비였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습니다. 만적의 난은 역사학에서는 한국사 최초의 신분해방운동으로 평가받습니다. 탐관오리들의 수취 때문에 일어난 민란은 조선이나 고려는 물론 삼국시대에서도 분명히 존재했지만, 주동자가 뚜렷하게 신분 해방을 목표로 삼았던 경우는 만적의 난이 최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집현전은 언제 세워진 학술기관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집현전이란 명칭이 사용된 것은 1136년(고려 인종 14)에 연영전(延英殿)을 집현전이라 개칭한 데서 비롯합니다. 그러나 고려 때와 조선의 건국 초기까지에도 별다른 활동은 없었습니다.이후 1356년(공민왕 5년) 고려 공민왕이 집현관을 폐지하였고, 조선 세종 2년(1420년)에 다시 설치하여 확대·개편하였습니다.이전까지는 관청도 없고, 직무도 없었으나 이때부터 청사를 가지고, 경전과 역사의 강론과 임금의 자문을 담당하였다고 합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