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병인박해의 주요 원인은 무엇이었나요?
베이징 조약 체결 이후 러시아 남하를 견제하기 위해 흥선대원군이 천주교 세력을 이용하여 프랑스와 동맹을 체결을 시동하였습니다. 그러나 동맹 체결이 뜻대로 되지 않고, 정부내 조대비와 대신들의 천주교에 대한 반발이 커지면서 오히려 전통 유교 질서와 왕권 가화를 위해 천주교 탄압으로 정책을 전환하면서 병인박해가 일어났습니다. 1866년 병인박해로 조선 정부는 프랑스 선교사 9명과 수천명의 신자들을 처형하였으며, 이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는 병인 양요를 일으킨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시정 전시과와 개정 전시과의 차이는 뭔가요?
시정전시과는 경종 때 시행된 최초의 전시과로 전현직 관리에게 전지와 시지에 대한 수조권을 관품과 인품을 기준으로 나누어 준 제도입니다. 그러나 인품의 기준이 객관성이 없다는 이유로 목종 재위 당시 인품을 제외하고 오직 관품만을 기준으로 개정 전시과 시행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마야 문명에서는 왜 사팔뜨기일 수록 미인으로 생각했던 건가요?
마야 문명에서 사팔뜨기(사시)를 미의 기준을 삼았던 이유는 눈이 어긋난 모습이 탁월함과 아름다움, 그리고 신분의 상징으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마야의 어머니들은 아이의 눈 위에 작은 공을 매달아 일부러 사시를 만들려고까지 했다고 합니다. 이는 특히 엘리트 계층에서 높이 평가받는 미적 특징입니다. 사팔뜨기와 같은 기형적인 머리 모양(편두), 사팔뜨기 등은 특별함, 고귀함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오늘 아이가 미술대회에 나갔는데 주제가
최시형 선생은 조선 말기 동학의 2대 교주로 동학의 교세를 확장시키고, 동학농민 운동을 주도한 지도자입니다. 그의 본명은 최경상, 호는 해월입니다. 그는 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의 수제자이자 도통을 이어받은 인물로 동학교단을 재건하고 교세를 전국적으로 확장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최시형은 정부의 탄압 속에서 동경대전, 용담유사 등을 간행하여 동학의 교리를 정리하고, 포접제를 정비하여 교세를 확대하였습니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 당시 북접의 지도자로 2차 봉기에 참여하였으나 1898년 체포되었습니다. 아이러니 하게 그를 재판하여 사형 구형한 인물은 고부군수 조병갑이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살수대첩과 명량해전 중 어떤게 더 대단한건가요?
살수대첩은 고구려의 을지문덕이 수나라 30만대군을 전멸시킨 대첩입니다. 이로써 수나라는 국력을 회복할 수 없게 만들어 동아시아의 역사적 흐름을 바꾼 육상전입니다. 그리고 명량대첩은 이순신 장군 단 13척의 배로 300척이 넘는 일본 함대를 격파하여 조선 수군이 제해권을 장악하고 임진왜란에서 전세를 바꾼 해전입니다. 두 전투 모두 각자 맥락에서 역사상 최고 대첩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을지문덕의 정체가 미스테리인가요??
을지문덕의 정체, 즉 실존 여부에 대해 미스테리한 부분이 많습니다. 그는 고구려 영양왕 때 살수대첩에서 수나라 30만 대군을 격파한 명장입니다, 그러나 그가 언제 태어나고, 사망했는지 구체적 기록을 역사적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없습니다. 즉 등에서 그의 간력한 전투 기록만 남아있지 구체적으로 그의 일생에 대해 기록은 전무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무오사화의 원인이 된 조의제문은 무엇인가요?
조의제문은 김종직이 지은 글로 중국 초나라 의제가 항우게 살해된 사건을 애도한 내용입니다. 하지만 이 글은 단순한 추모의 글이 아니라 초나라 의제를 단종에 비유하여 세조의 왕위 찬탈을 우회적을 비판한 글이기도 합니다. 이 글이 제자 김일손에 의해 사초로 실리면서 훈구파 이극돈 등에 의해 사화의 빌미가 되었습니다. 즉 조의제문은 세조의 즉위 당시 단종의 죽음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글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사도세자사건은 덩시 조선시데ㅜ사람들에게 어떤평가를 받았나요
사도 사건은 조선 시대 왕실 최대의 비극으로 영조가 아들을 뒤주에 가두어 죽인 일은 당시 매우 충격적인 사건입니다. 당시 조정 신하들은 사도세자 사건을 보는 시각이 달랐습니다. 이후 영조의 결정을 지지하는 벽파와 이를 반대하는 시파로 나뉘었습니다. 영조는 사건 이후 신하들이 이를 하레하자 기꺼이 받아들이고, 자신의 결정이 국가의 대의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그에게 '사도'라는 시호를 내리기도 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드래곤은 상상속의 존재하는 것인데 동양과서양에서는 어떻게 보지요?
동양에서 용은 신성하고 신비로운 존재로 여겼습니다. 풍요, 권력, 지혜, 행운을 상징하며 왕권을 상징합니다. 반면 서양의 드레곤은 주로 파괴와 악, 위협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중세 유럽 신화 문화에서는 드레군이 영웅이 물리쳐야 할 적대적 존재로 묘사됩니다. 불을 뿜고 보물을 지키는 무서운 괴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동양의 용은 긍정적으로 묘사되지만 서양의 용은 위협적인 존재로 묘사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정사에 기록된 장비와 관우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장비의 장팔사모와 관우의 청룡언월도는 삼국지 정사에 기록된 바 없습니다. 이 무기들은 삼국지연의와 후대 창작에 의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특히 청룡언월도는 송나라 이후 등장하는 무기입니다.장비의 산적같은 수염, 관우의 붉은 수염과 기 수염 등도 정사에는 묘사되지 않는 내용입니다. 이런 외모와 이미지는 삼국지연의에서 만들어진 이미지입니다.
1561571581591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