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영화 전문가입니다.

유영화 전문가
남성학원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의 청야 전술은 어떤 것을 의미하나요
고려의 청야 전술은 적군이 공격해 올 때 주변 들판의 곡식 등 군량미를 미리 거두어들이거나 불태우는 등 빈 들판으로 만들어 적군이 현지에서 식량을 보급받지 못하도록 하는 전술입니다. 전술은 적군의 보급을 차단하여 전투력을 약화시키고 피로를 누적시킨 뒤 반격하는 방어적 전술로, 고려 현종이 거란(여진)군과의 전쟁에서 활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구체적으로 적이 물자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우리 역사에서는 고구려 때부터 사용해 왔던 전술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종대왕은 형들과 우애가 깊었던 이유가 무엇일까요
세종 대왕이 형들과 우애가 깊었던 것은 폐위된 형 양녕대군이 계속해서 아끼고 보호하려 하였습니다. 신하들이 양녕대군 문제를 거론하며 압박할 때에도 골육지친이니 버릴 수 없다고 형을 감쌌습니다. 그리고 둘째형인 효령은 출가하여 정계에 간섭하지 않았습니다.그리고 세종의 개인적 인격과 통치 방식이 화목과 이해를 중시해서 형제들 간에 정치적 경쟁이 줄이고 우애를 유지하도록 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러시아의 칸과 짜르가 무슨뜻인지 궁금합니다
"칸"은 주로 유목민 출신의 군주 칭호로 몽골과 튀르크 계열의 유목민 국가들에서 사용되었습니다. 러시아의 경우 모스크바 공국이 킵차크 칸국 영토 일부를 장악하면서 칸은 주로 유목민 전통과 중앙아시아, 동유럽 초원 지역에서 강력한 군주를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그리고 차르는 러시아 군주의 칭호로 라틴어의 카이사르에서 유래됩니다. 이 칭호는 동슬라브권에서 황제, 혹은 왕에 해당됩니다. 이반 4세 때부터 사용되기 시작해, 1721년 표트르 대제 이후에는 공식 황제 임페라토르(Imperator) 칭호로 대체되었지만 관습적으로 계속 쓰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왕릉이 상대적므로 도굴 피해가 적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조선왕릉의 지하에는 왕의 시신을 모시는 견고한 석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석실을 둘러싼 회벽은 시멘트와 비슷한 성분으로 만들어져 콘트리트보다 더 단단하게 하였습니다. 부장품이 적고 검소한 장례문화도 도굴꾼들의 관심에서 벗어나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조선 시대에는 능참봉을 두고 재실과 수복방 등 왕릉 관리 시설을 운영하여 왕릉을 체계적으로 보호했습니다. 따라서 조선시대 왕릉은 도굴 위험 자체가 낮았고, 도굴꾼들이 굳이 위험을 감수하며 뚫을 이유가 적었습니다임진왜란 때 성종과 중종릉을 도굴하려 한 사례가 있지만 대부분의 왕릉은 지나치게 견고해 도굴이 실패하여 큰 피해를 입지 않았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왕릉에는 주로 어떤것들을 같이 묻었나요
조선왕릉에는 주로 왕과 왕비의 시신을 모신 견고한 석실에 백자, 칠기함, 금속과 석재로 만든 석물 등이 있었고, 제사용 제구들도 함께 포함되었습니다. 능실 내부에는 사신도 그림이 그려져 있었고, 재궁이 두꺼운 석회로 감싸져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조선은 검소한 유교적 장례 문화로 부장품의 수와 진귀한 장신구 대신 기능적이고 절제된 형태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즉 많은 보물은 거의 함께 묻히지 않았습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