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조선왕릉이 상대적므로 도굴 피해가 적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조선왕릉은 특이하게 역사적으로 도굴피해가 적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조선왕릉은 왜 도굴피해가 적었는지 배경이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조선왕릉의 지하에는 왕의 시신을 모시는 견고한 석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석실을 둘러싼 회벽은 시멘트와 비슷한 성분으로 만들어져 콘트리트보다 더 단단하게 하였습니다. 부장품이 적고 검소한 장례문화도 도굴꾼들의 관심에서 벗어나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조선 시대에는 능참봉을 두고 재실과 수복방 등 왕릉 관리 시설을 운영하여 왕릉을 체계적으로 보호했습니다. 따라서 조선시대 왕릉은 도굴 위험 자체가 낮았고, 도굴꾼들이 굳이 위험을 감수하며 뚫을 이유가 적었습니다

    임진왜란 때 성종과 중종릉을 도굴하려 한 사례가 있지만 대부분의 왕릉은 지나치게 견고해 도굴이 실패하여 큰 피해를 입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