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도파민 하고 엔돌핀은 어디에서 생성이 되고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도파민은 주로 뇌의 여러 부분에서 생성됩니다. 특히 중뇌의 흑질(Ventral tegmental area, VTA)과 시상하부의 일부 영역에서 많이 만들어지는데 보상, 쾌락, 운동 조절 등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무언가 긍정적인 일이 발생했을 때, 예를 들어 맛있는 음식을 먹거나, 운동을 하거나, 사랑하는 사람과 시간을 보낼 때 도파민이 방출되어 기분이 좋아집니다. 도파민은 또한 학습, 기억, 주의 집중, 운동 조절 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도파민 수치가 너무 낮거나 높은 경우는 다양한 정신적, 신체적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엔돌핀은 뇌, 척수, 기타 여러 조직에서 생산됩니다. 특히 뇌의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서 많이 생성되며, 몸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엔돌핀은 '자연스러운 진통제'로 불리는데, 엔돌핀은 스트레스나 고통을 느낄 때 방출되어 통증을 줄이고 기분을 좋게 합니다. 운동 중에 엔돌핀이 방출되어 '운동자의 고양감'이라고 불리는 현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엔돌핀은 우리가 긴장을 풀고 편안함을 느끼게 하며,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Q. 식용유가 왜 물보다 끓는 점이 높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어떤 액상물질이 끓는점이 높다는 것은 그 물질을 이루는 결합이 그만큼 강하여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다는 의미가 됩니다.물 분자들은 작고, 수소 결합이라는 특별한 종류의 강한 결합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수소 결합은 식용유에 있는 분자들 사이의 결합력보다 약하기 때문에 물은 비교적 낮은 온도(100℃ 대기압 하에서)에서 끓게 됩니다.반면에, 식용유는 주로 긴 탄화수소 사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긴 분자들은 물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여 서로 분리되기 때문에, 식용유의 끓는점은 물의 끓는점보다 훨씬 높으며 식용유가 끓기 시작하는 온도는 대략 150℃에서 250℃ 사이인 경우가 많습니다.
Q. 인공지능이 대기과학에도 적용되나요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과학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은 데이터 처리, 패턴 인식, 예측 모델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후 변화, 날씨 예측, 대기 오염 모니터링 등의 연구와 응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때문이죠. 몇 가지 예시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딥러닝 기반의 기후 모델링: 전통적인 기후 모델은 매우 복잡하고 계산 비용이 높습니다. 딥러닝은 이러한 모델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기후 시스템의 복잡한 동역학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컨볼루션 신경망(CNN)은 위성 이미지와 기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후 패턴을 학습하고, 미래의 기후 변화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기계 학습을 이용한 정밀 날씨 예측: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과거의 대규모 기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날씨 패턴을 인식하고 미래의 날씨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수치 예측 모델보다 더 빠르고 정확할 수 있으며, 특히 단기 예측에서 유용합니다.시계열 분석과 예측 모델링: 대기 오염 데이터는 시계열 데이터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AI 기반의 시계열 분석 기술은 과거의 오염 레벨 데이터를 분석하여, 향후 오염 수준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기 오염 경보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이미지 인식과 객체 탐지: 위성 이미지와 레이더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상 재해(예: 태풍, 홍수, 산불 등)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해당 지역에 경보를 발령할 수 있습니다. CNN과 같은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은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데이터 마이닝과 패턴 인식: 엄청난 양의 대기 데이터 속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대기과학 연구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입니다. AI 기반의 데이터 마이닝 기술은 이러한 데이터에서 패턴, 상관관계 및 기타 통찰을 발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Q. 자전거를 탈 때 빠르게 달릴수록 더 안정적인 이유?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자전거를 탈 때 속도가 붙어야지만 안정적이게 되는 이유는 각운동량 보존, 자이로스코픽 효과, 그리고 스티어링 지오메트리 요렇게 3가지가 있습니다.먼저 각운동량 보존 원리에 따르면, 회전하는 물체는 외부 힘에 의해 방향이 바뀌지 않는 한, 그 회전 축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전거의 바퀴가 빠르게 회전할 때, 각운동량이 커지고, 이는 바퀴가 그 회전 축을 유지하려는 경향을 강화시킵니다. 따라서, 자전거가 빠르게 움직일수록 바퀴의 각운동량이 증가하고, 이는 전체 자전거의 안정성을 높여 줍니다.자이로스코픽 효과는 회전하는 물체가 그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의 외부 힘에 저항하여, 그 힘에 수직인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성질입니다. 자전거의 바퀴가 회전할 때, 이 효과로 인해 자전거가 쓰러지려는 방향에 대해 저항하게 되므로, 속도가 빨라질수록 바퀴의 자이로스코픽 효과가 커지고, 자전거는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자전거의 설계에는 스티어링 지오메트리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전거가 쓰러지려고 할 때, 바퀴가 자동으로 쓰러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이동 중인 자전거가 자동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돕습니다. 이는 특히 속도가 빨라질 때 더욱 효과적입니다.따라서, 자전거가 빠르게 움직일수록 바퀴의 각운동량이 증가하고, 자이로스코픽 효과와 스티어링 지오메트리 덕분에 자전거는 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이러한 물리학적 원리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전거를 탈 때 속도가 빠를수록 더 안정적으로 느껴지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