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입니다.

윤지은 전문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자산관리
자산관리 이미지
Q.  제가 시가 2억 천만 원짜리 명의 집이 있는데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집 한 채만 있고 소득이 0원이라도, 건강보험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면 재산 기준으로 보험료가 부과됩니다. 2억 1천만 원짜리 주택이면 공시가격 기준으로 환산했을 때 대략 60\~70% 수준으로 계산될 가능성이 높고, 여기에 재산 점수 매기고 공제 적용하면 보험료가 월 9만 원 전후 나올 수 있습니다. 물론 지역마다, 공시가에 따라 차이가 꽤 큽니다. 주택 외에 자동차나 금융소득이 있으면 그만큼 추가될 수도 있고요. 느낌상 이게 꼭 백수 처지에는 좀 과하다 싶을 정도인데, 실제로 지역가입자한테는 이런 방식으로 책정된다고 합니다. 실제 사례로는 2억 초반대 주택 소유하고 아무 소득 없는 분이 월 8만 원대 후반 나오는 경우도 봤습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이번 분기 매출에서 네이버가 카카오보다 1조이상 매출이 벌어지고 있는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요즘 나오는 실적만 보면 확실히 네이버와 카카오 간 격차가 커진 건 맞습니다. 예전엔 네카오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붙었지만, 지금은 네이버가 혼자 너무 멀리 가고 있는 느낌이 듭니다. 그 이유를 따져보면, 네이버는 커머스랑 서치 광고, 클라우드 쪽에서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갖춘 반면, 카카오는 콘텐츠 중심 수익 모델이라 휘청이는 영역이 많습니다. 특히 커머스 쪽에서 네이버 쇼핑이 워낙 강세를 보이고 있고, 검색 광고 매출도 탄탄해서 경기 불황에도 견디는 힘이 있는 반면, 카카오는 카카오톡 기반 광고 수익이나 신사업 쪽에서 한계가 드러난 듯합니다. 요즘처럼 불확실성이 클수록 수익 구조가 안정된 쪽이 결국 버티고 올라가는 듯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메가 커피, 매머드 커피등 저가 커피 기업이 많아진 이유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생각해보면, 진짜 몇 년 전만 해도 스타벅스나 커피빈처럼 좀 비싼 커피 브랜드가 거리마다 하나씩은 있었던 것 같은데, 요즘은 메가커피나 매머드처럼 저렴한 곳들이 훨씬 눈에 많이 띕니다. 이 흐름이 생긴 배경에는 코로나 이후 외식 소비 줄고, 배달테이크아웃 문화가 자리 잡은 것도 한몫한 듯합니다. 또 최저임금 상승, 임대료 부담 등으로 가맹점 입장에서도 저가 커피 모델이 오히려 유지비가 덜 들어서 선택되는 경향도 있고요. 소비자 입장에서도 굳이 비싼 커피 안 마셔도 괜찮다는 인식이 퍼지다 보니, 가성비를 앞세운 브랜드가 빠르게 자리 잡은 것 같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코인, 주식 떡상하면 익절하는게 유리한가요, 더 들고가는게 유리한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솔직히 말하면 오를 때가 더 고민되죠. 수익이 쌓일수록 팔고 싶은 마음이랑 더 갈 거 같다는 욕심이 계속 싸워서 머리가 아파집니다. 실무에서 자주 접한 바로는 익절 타이밍은 결국 본인이 정한 기준이 있느냐 없느냐에 달린 것 같습니다. 20% 오르면 무조건 일정 비율 매도한다든가, 혹은 목표가 설정하고 나면 거기서 나오는 변동엔 휘둘리지 않기로 마음먹는 게 필요합니다. 계속 들고가다 보면 언젠가는 꺾이기 마련이고, 그때 되면 내가 왜 안 팔았지 하고 후회하거든요. 반대로 너무 빨리 팔면 또 그 이후 상승 보면서 괴롭고요. 그래서 제 기준에서는 기준 없는 홀딩보다 기준 있는 익절이 장기적으로는 마음 편했다고 느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미성년자 주식 관련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미성년자가 주식 투자를 하려면 부모님 명의 계좌로는 안 되고, 따로 증권사에 가서 '미성년자 계좌를 만들어야 합니다. 기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법정대리인 신분증, 인감증명서 같은 서류가 꽤 필요해서 생각보다 절차가 번거로운 편입니다. 또 계좌를 만들었다고 바로 투자가 쉬운 것도 아니고, 부모님이 대신 매매해주는 형태라 실질적인 '직접 투자와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실무에서 자주 보는 바로는 부모가 대신 해주는 경우, 자녀가 실제로 투자 감각을 키우긴 어렵더라구요. 그래서 처음엔 종목을 직접 고르고 이유를 정리해보는 식으로, 연습부터 시작하는 게 훨씬 낫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 꼭 짚고 싶은 건, 친구 따라 급등주나 테마주 쫓는 식은 위험하다는 점입니다. 잃고 나면 복구가 힘들어요. 초반에는 ETF나 배당주 같은 안정적인 쪽으로 천천히 가는 게 오래 버티는 비결이라 생각합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