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강아지도 독감에 걸릴 수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네. 강아지도 독감에 걸릴 수 있습니다. 사람과 동일하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독감으로 인한 호흡기 증상을 보일 수 있지요. 독감 외에도 강아지 켄넬코프라 하여,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나 마이코플라스마 등 세균성 감염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기침을 하거나, 입맛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인다면 독감이나 감기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환경에 널리 잔존하고 있는 바이러스나 세균은 예방접종으로 어느정도 예방이 가능합니다. 만약 강아지가 단두종이거나, 비만할 경우엔 호흡기 질환에 걸리면 잘 낫지 않기 때문에 예방접종에 보다 힘써주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Q. 펫밀크 같은 거를 줘도 강아지한테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우유에 알레르기가 크게 없다면 주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물을 주시는 것이 가장 좋겠지요. 우유에도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나, 우유가 흡수되는 과정에서 삼투압이나, 우유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이나 지질은 수분 흡수 과정 중 피복처럼 약간 흡수를 저해할 수 있습니다. 영양분이나 수분 자체가 손실되는 건 아니고, 원래 흡수될 양 보다 적게 흡수된다는 말입니다.즉 강아지가 갈증을 느끼면 물을 주시는 것이 가장 좋고, 간식이나 영양공급을 위해선 알레르기가 없다는 가정하이 소량의 펫밀크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 강아지가 사료를 잘 안 먹어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급격한 성장기가 끝나고, 이차성징, 즉 성성숙이 일어나는 시기에는 성장만큼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사료를 먹는 양이 전에 비해 확연히 줄어들게 됩니다.다만, 기호성이 높은 식품에 대해서는 식욕이 거의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식단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 살이 찌기 쉽지요. 특히 이 시기에는 중성화를 자주하게 되는데, 수컷의 경우는 여성호르몬의 비중이 커지면서 비만해지기가 더욱 쉽습니다.사료를 너무 먹지 않는다고 해서 간식이나 타 화식을 너무 자주 급이하지 마시고, 강아지가 스스로 배고플 때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지도해주시길 바랍니다.
Q. 안녕하세요 말티즈가 평균 몇년이 되면 완전히 크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9개월 정도에는 사람으로 치면 이차성징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해당 시기엔 성장호르몬의 영향력이 줄고, 성호르몬의 영향력이 증가하면서 성장판이 점차 닫히고, 생식기의 성숙이 나타나는 시기입니다. 보통 암컷의 경우는 첫 생리를 시작하면 대개 더이상 체구가 커지지 않고, 지방의 축적, 즉 살만 찌기 시작합니다. 수컷의 경우는 암컷의 생리보다는 보다 일찍 마운팅을 시작하며, 보통 평균적으로 마운팅을 시작하고 4개월 까지는 성장세가 보이긴 하나 그 뒤에는 거의 성장하지 않는 경향을 보입니다.
Q. 유기견은 예방접종을 뭐부터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다른 강아지를 입양할 때와 동일하게 가장 기본적인 종합접종(DHPPL)부터 하시면 됩니다.종합접종으로 예방되는 개홍역이나 파보장염의 경우는 치사율이 굉장히 높습니다. 사실, 1차면역계가 어느 정도 성숙한 6개월령 이후의 강아지에게서는 잘 발병이 되지 않으나, 만일 발병하게 되면 예후가 극히 좋지 않은 것은 동일하기 때문에 가급적 해당 접종은 매년 부스터샷으로 맞게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추가로 강아지와 외부장소나 외부인을 자주 접촉하신다면 광견병 접종 역시 필수적으로 필요하지요. 광견병은 강아지는 물론 사람에게도 치사율이 100%에 달하는 매우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실제로는 광견병에 노출될 상황은 매우 드물긴 하나, 타인이나 타 강아지와 불미스러운일이 있을 수 있기에 반드시 접종을 미리 해 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