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매일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이상반응을 잘 체크하면서 관리 차원에서 드세요-------------------------------------------------------------------1) 정신신경계: 졸음, 때때로 권태감, 두통, 마비감, 초조, 드물게 가볍고 일시적인 나른함, 피로, 어지러움, 두중감, 흥분이 나타날 수 있다.2) 소화기계: 때때로 구갈, 구순건조감, 구역, 식욕부진, 위부불쾌, 소화불량, 복통, 위통, 복부불쾌감, 드물게 구토, 위장장애, 설사, 구순염, 미각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3) 순환기계: 드물게 빈맥, 부정맥, 혈압상승, 때때로 심계항진이 나타날 수 있다.4) 혈액계: 혈관염, 때때로 백혈구감소, 호중구감소, 임파구증가, 호산구증가, 드물게 단핵구증가, 혈소판증가, 혈소판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5) 과민증: 광과민증, 아나필락시스 쇽, 때때로 부종, 드물게 발진, 소양감, 혈관부종이 나타날 수 있다.6) 눈: 드물게 시야흐림, 결막충혈, 안 운동 발작이 나타날 수 있다.7) 간: 때때로 AST, ALT, Al-P, 총빌리루빈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8) 신장: 때때로 BUN 상승, 당뇨, 요잠혈이 나타날 수 있다.9) 기타: 인두염, 기침, 비출혈, 기관지경련, 청력이상, 시각이상, 때때로 흉통, 드물게 월경불순, 이명이 나타날 수 있다.10) 1세 이상 6세 미만의 소아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 가장 흔하게 나타난 이상반응은 발열, 설사, 구토, 중이염이었다.11) 시판 후, 공격성, 환각, 우울, 경련, 지각이상, 호흡곤란, 두드러기, 고정약물발진, 시각장애, 간염, 근육통, 관절통, 체중증가, 식욕증가, 불면, 자살관념, 현기증, 실신, 진전, 미각이상, 배뇨장애, 소변고임, 부종, 악몽이 추가로 보고되었다.12) 레보세티리진 투여 중단 후, 일부 환자에서 가려움증, 두통이 보고되었다.13) 국내 시판 후 조사결과가.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4년 동안 1866명(정제:1701명, 액제:16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결과 유해사례의 발현율은 1.13 %(21명/1866명, 25건)이었다. 주 유해사례는 졸림 0.27%(5명/1866명), 진정 0.21%(4명/1866명), 어지러움 0.11%(2명/1866명)등의 순 이었다. 이 중 약과의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0.64%(12명/1866명, 12건)으로 보고되었으며 졸림 0.27%(5명/1866명), 진정 0.21%(4명/1866명), 어지러움 0.11%(2명/1866명), 두통 0.05%(1명/1866명)의 순이었다. 중대한 유해사례는 약과의 인과관계에 상관없이 압박골절 및 폐렴 각 0.05%(1명/1866례, 1명)이며, 예상치 못한 유해사례는 약과의 인과관계에 상관없이 구내염, 가래 이상, 후비루, 호흡곤란, 착감각, 고혈압, 압박 골절, 폐렴이 각 1건씩 보고되었다.나. 재심사 기간동안 자발적인 보고, 임상시험 및 문헌정보등을 통해 보고된 예상치 못한 약물유해반응으로 근육통 2건, 동공확대 1건, 여드름 1건, 고혈당 1건, 두드러기 1건, 복부팽만 1건, 체중증가 1건으로 총 8건이 보고되었다.4. 일반적 주의1) 이 약 복용 후 졸림, 피로, 무력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운전이나 기계조작같이 기민함을 요구하는 작업을 행할 경우 좀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2) 기민함을 감소시키거나 중추신경계 작용을 추가로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이 약과 알코올, 항우울제와 같이 복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3) 레보세티리진은 요저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요저류의 선행요인(예: 척수장애, 전립선 비대)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 주의해야 한다.4) 이 약 복용 후 간질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간질환자 및 경련의 위험성이 있는 환자의 경우 주의해야 한다.
Q. 탈모약과 감기약을 같이 먹어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프로페시아와 미녹시딜 탈모약과 감기약 같이 드셔도 됩니다---------------------------------상호작용임상적으로 중요한 약물상호작용은 밝혀진 바가 없다. 이 약은 CYP-450 관련 약물대사효소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알려졌다. 안티피린, 디곡신, 글리부리드, 글리벤클라미드, 프로프라놀롤, 테오필린 및 와르파린 등과 이 약의 상호작용 조사를 위한 임상시험을 실시한 바 있으나 유의한 상호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비록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지는 않았으나, 임상시험시 이 약 1 mg 혹은 그 이상의 용량은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틸살리실산, α-차단제, 진통제, ACE저해제, 항경련제, 벤조디아제핀, β-차단제, 칼슘채널차단제, Cardiac nitrates, 이뇨제, H2 길항제,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 Prostaglandin synthetase 저해제(NSAIDs) 및 퀴놀론계 항균제와도 임상적으로 유의한 이상반응 없이 병용하여 사용되었다.
Q. 요오드는 자주 뿌려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주의사항1.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사용하지 말 것1) 이 약 및 이 약 성분에 과민증 환자2) 갑상선기능 이상 환자3) 6세 미만의 소아4) 방사성요오드 치료중 및 치료전후2.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사용하기 전에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1) 입안이 심하게 헐은 환자2)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및 수유부3. 다음과 같은 경우 이 약의 사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치과의사, 약사와 상의할 것. 상담 시 가능한 한 이 첨부문서를 소지할 것1) 과민증: 과민증(발진 등), 아나필락시양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사용을 중단한다.2) 구강(입안) : 때때로 구강(입안), 인두의 자극감, 드물게 구강(입안)점막미란(짓무름), 입안의 헐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3) 소화기계: 때때로 구역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4) 피부: 드물게 접촉 피부염, 매우 드물게 혈관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5) 호흡기계: 폐렴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6) 내분비계: 매우드물게 갑상선 기능 항진증(때로는 빈맥 또는 동요), 빈도 알수없음 갑상선 기능 저하증*7) 기타: 드물게 불쾌감이 나타날 수 있다.* : 갑상선질환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다량의 요오드 섭취 (예. 상처나 화상의 치료를 위하여 넓은 피부면적에 포비돈요오드 장기사용)** : 포비돈요오드의 장기간 또는 광범위한 사용4. 기타 이 약의 사용시 주의할 사항1) 정해진 용법·용량을 지킨다.2) 소아에 사용할 때에는 보호자의 지도, 감독하에 사용한다.3) 구강(입안)용으로만 사용한다.4) 발치(이를 뽑음)후 등 구강 창상(입안 상처)의 경우 혈액이 응고하여 출혈이 멎기 전에는 격렬한 양치를 피한다.5) 이 약은 섬광촬영술을 이용한 갑상선진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 약의 투여와 섬광도 조사는 1~2주의 간격을 두고 실시한다. 또한 이 약의 투여중에는 갑상선 기능이 가역적으로 변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6) 드물게 쇽(아나필락시(과민성))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사용후 갑자기 가려움, 부종(부기), 가슴쓰림 등과 동시에 안색창백, 수족냉감(손발이 차가움), 식은 땀, 숨가뿜 등의 중증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7) 소독용으로 이 약을 과량 사용시 요오드 독성이 있다.8) 의복 등에 묻은 경우 바로 세척하면 물로 쉽게 씻겨진다.9) 실수로 과량을 삼켰거나 눈에 들어간 경우 즉시 조치를 취한다.10) 장신구(특히 은을 포함한 제품)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11)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악화되는 경우 의사와 상의한다.5. 저장상의 주의사항1) 소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2) 직사일광을 피하여 보존한다.3) 원래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오용(잘못 사용)에 따른 사고 발생이나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의 용기에 넣고 꼭 닫아 보관한다.4) 사용 전 열을 가하지 않는다.복약지도- 발진, 발적,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과량으로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가능한 습기가 적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세요.
Q. 부정출혈로 인한 프리베라정 복용 부작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팔이 힘빠지고 저리고 몸에 기운이없는느낌인데 호르몬약을 처음먹어봐서요 혹시 호르몬약 프리베라정 부작용인가요? 그럴 가능성은 있어요이상반응1) 유방 : 드물게 유루증, 유방통, 유방압통(긴만감)2) 면역계 : 아나필락시스, 아나필락시스유사반응, 혈관부종3) 피부 및 피하조직계 : 과민반응(두드러기, 가려움, 전신성 발진 등), 여드름, 다형홍반, 흑피증, 간반, 다모증, 조모증 및 탈모증4) 심혈관계 : 색전증 및 혈전증(심재정맥성 혈전증, 심근경색증, 뇌혈전증, 뇌색전증, 혈전정맥염, 폐색전증, 망막혈관성 혈전증, 장간막 색전증), 뇌출혈, 울혈심부전, 심계항진, 빈맥, 혈압상승5) 비뇨생식기계 : 지연 무배란, 자궁경부 진무름(미란), 자궁경부 분비물, 월경전 증후군, 성욕변화, 방광염과 유사한 증상, 기능장애 자궁출혈(불규칙, 증가, 감소, 점상출혈)6) 간담도계 : 황달, 담즙울체성 황달7) 정신계 : 우울증, 불면증, 신경과민, 다행감, 집중력 장애, 무관심, 흥분8) 신경계 : 졸음, 의식저하, 어지럼, 두통, 편두통, 등통증9) 근골격계 : 근경련10) 호흡기계 : 호흡곤란11) 소화기계 : 구역, 구토, 식욕부진, 설사, 변비, 구갈, 복통, 위부팽만감12) 안과계 : 시각장애, 안구돌출, 복시, 시신경염(부분 또는 전체적인 시력상실을 초래할 수 있다)13) 전신 및 투여부위 : 발열, 오한, 발한, 피로, 부종, 체액저류14) 임상검사치 : 간기능 이상(AST, ALT, 빌리루빈), 체중의 증가, 체중의 감소, 내당력 감소, 고칼슘혈증 5일치를 지어주셨는데 꼭 다먹어야하나요? 부정출혈 멈추기도 했고 제가 다음주에 전신마취하는 수술을 앞두고있는데 이런 호르몬약 먹어도 상관없나요- 5일은 드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