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12월 4일 작성 됨
Q.
위산은 위에서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위산은 우리 장내에 존재하는 벽세포라는 세포에의해 만들어진 염산이 포함되어있습니다.벽세포는 수소이운올 만들어 분비하기때문에 산성도를 매우 강하게 높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심장은 어떻게 쉬지 않고 계속해서 움직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심장세포는 자율적으로 박동성을 갖는 특이한 세포입니다.유전적으로 스스로 전기신호를 만들어내고수축과 이완작용을 수행하도록 세포하나하나가 설정되어있습니다.영양분공급과 면역체계만 잘 작동한다면심장은 계속해서 뛸 수 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뇌세포(뉴런)는 어떻게 정보를 전달하고 처리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신경세포는 크게 두가지방식으로신호를전달합니다.첫번째로 도약전위라는 이온채널을 활용한 정보전달입니다.세포안쪽과 바깥쪽의 전위차를 만들어 이동하는전기신호를 만들어냅니다.두번째로 신경세포 끝과끝에 화학물질을분비하는 곳과 받는곳이 달려있어화학적인 정보전달이 이루어집니다.이런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고신경세포끼리 상호작용하며정보저장시스템과 처리시스템을 운용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대나무는 왜 단풍이 물들지 않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대나무는 겨울이되도 엽록소를 잃지않고광합성을 지속해서 푸른색을 띱니다.또한 단품의 색을 낼수있는 카르티노이드나 안토시아닌같은다른 색소들도 가지고있지 않아 단풍이들지않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식물 중 줄기만 있는 상태에서 땅에 심으면 뿌리를 내리고 사는 식물이 있던데 줄기처럼 생긴 뿌리인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삽목이라는 방법입니다. 허브류나 일부다육이들이 이런 방법으로 자라는게 가능하고 줄기에서 뿌리가나와 고정됩니다.단풍나무도 가지를 잘라서 심을수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우리가 생명체의 시작을 정확히 정의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생명체의 기원을 밝히기위해서는 그 이후에 진화한종들을 서서히 연관지어가며 올라가야하지만, 현재 화석증거만으로는 그 위쪽까지올라가지못하고 중간중간 연결성이 끊어져있기때문입니다.즉, 직접증거가 없어 정확히 정의가불가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직접 낳는 물고기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뱃속에 알을저장하고 알이 부화된뒤 새끼형태로 배출하는종들이 있습니다. 이런 어류를 난태생물고기라고합니다.여기에는 구피나 몰리, 플래티, 일부 상어나 가오리등도 이에 해당된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심해 생물은 어떻게 극한 환경에서 살아남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심해생물들은 압력을 버티기위해 신체조직을 흐물흐물하게만들고 연골들로 뼈를대체하며 살아갑니다.또한 빛이없어 눈이퇴화했지만 거대한턱과 이빨로 먹이를 한번물면 놓지않도록 진화했습니다.이런 신체적변화로 극복해서 살아갑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무인도나 동굴에 갇혔다고 치고 가진게 가죽가방밖에 없는데 이걸 먹는다면?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가죽역시 동물이 음식을섭취하고 구성한 신체구조물이기에 단백질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소화가되는형태로 조리하면 먹고 흡수할수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12월 3일 작성 됨
Q.
대다수의 동물은 왜 포유류의 생리적 특성을 가지지 않았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포유류는 마지막 대멸종이후 빙하기에서 살아남고나서 폭발적으로 그 수와 종이 늘어났습니다.그래서 가장마지막에 등장한 생물종이라서 다른동물들에 비하면 그 수가적긴합니다.포유류외에는 모두 그 이전부터 존재해왔고 굳이 포유류의 특징을 갖지않아도 생존이 가능했기때문에 포유류특성으로 발달시킬 이유가 없었습니다.감사합니다.
116
117
118
119
1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