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늘격렬한딸기
늘격렬한딸기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직접 낳는 물고기도 있나요?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직접 낳는 물고기도 있나요? 그리고 새끼를 낳는 물고기가 있다면, 번식 과정은 어떻게 다른가요? 그냥 육식 동물 및 사람과 동일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네,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직접 낳는 물고기가 있습니다. 이를 태생이라 하며, 태생 물고기 중에는 구피, 상어 일부, 망둑어 등이 있습니다. 이들 물고기는 어미 몸속에서 수정란이 자라나며, 새끼가 어느 정도 성장하면 출산 형태로 태어납니다. 번식 과정에서 수정란이 어미의 체내에서 영양분을 공급받아 발달하기 때문에 알을 외부에 방출하는 난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다만, 사람처럼 태반이 있는 형태는 아니며, 대부분 난황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습니다.

  • 네,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직접 낳는 물고기도 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물고기들은 대부분 알을 낳아 번식하지만, 일부 물고기들은 포유류처럼 새끼를 직접 낳아 기르는 방식으로 번식하느데, 이러한 물고기를 태생 어류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망상어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연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고기로, 암컷의 뱃속에서 새끼가 5~6개월 동안 성장한 후 밖으로 나옵니다. 또 흔히 우럭이라고 부르는 조피볼락 역시 망상어처럼 암컷의 뱃속에서 새끼를 키우며 청새리상어도 암컷의 자궁 속에서 새끼가 태어납니다.

  • 안녕하세요.

    네,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직접 낳는 물고기도 존재합니다. 난생은 암컷이 알을 직접 물속에 방출하고, 수컷으로부터 방출된 정자와 만나 체외수정을 하는 생식방법인데요, 금붕어, 비단잉어, 고등어 등 대부분의 물고기가 이러한 난생을 합니다. 반면에 난생과 대응되는 태생은 흔히 포유류에서 볼 수 있으나, 포유류가 아니라 망상어, 조피볼락, 청새리상어 등의 일부 물고기의 경우에는 태생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때 태생은 정자를 암컷의 생식기 관내로 전달하는 체내 수정을 하며, 물고기의 태생은 포유류와는 다르게 태어난 후 젖을 먹지 않고 바로 먹이를 먹을 수 있는 독립이 가능합니다. 예시로 망상어는 임신 기간이 6개월이며, 새끼는 자궁 내에서 분비되는 고단백질의 액인 자궁유를 먹고 자라고, 이렇게 태어난 물고기는 치어기 이후에 태어나므로 외부 형태를 모체를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성장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뱃속에 알을저장하고 알이 부화된뒤 새끼형태로 배출하는종들이 있습니다. 이런 어류를 난태생물고기라고합니다.

    여기에는 구피나 몰리, 플래티, 일부 상어나 가오리등도 이에 해당된다고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물고기중에는 새끼를 낳는것처럼 보이는종이있습니다.

    알을 배속에서 부화시키고 새끼의형태로 출산합니다.

    유명한 물고기로 구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난태생 어류를 말씀하시는 거 같습니다. 난태생 어류에는 가오리, 곱상어, 조피볼락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아마 해당 내용은 고래가 해당이 됩니다.

    고래는 알이 없이 새끼를 낳는 동물 중 하나랍니다. .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네, 알을 낳지 않고 새끼를 직접 낳는 물고기가 있습니다. 이러한 물고기들은 난태생 또는 태생이라고 하며, 난태생은 수정된 알이 암컷의 몸 안에서 부화하여 새끼를 낳는 방식이고, 태생은 포유류처럼 새끼가 암컷의 몸 안에서 자라 완전히 성장한 후에 낳는 방식입니다. 번식 과정은 알을 낳는 물고기와 다르게, 수컷의 정자가 암컷의 몸 안에서 수정되고, 새끼는 어미의 몸 안에서 영양분을 공급받으며 자랍니다. 사람과 같은 포유류의 번식 과정과는 차이가 있지만, 수정과 임신, 출산이라는 과정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태반을 통해 영양분을 공급하는 사람과는 달리, 난황이나 다른 영양 공급 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육식 동물 및 사람과 동일하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