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

위산은 위에서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우리몸 속 소화기관 중엣위는 음식을 먹으면 소화를 위해서 위산이 붐비 되는데요

그런데 어떻게 우리몸 속에서

산성인 위산이 만들어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위산은 우리 장내에 존재하는 벽세포라는 세포에의해 만들어진 염산이 포함되어있습니다.

    벽세포는 수소이운올 만들어 분비하기때문에 산성도를 매우 강하게 높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위에있는 벽세포라고하는 세포로부터 염산이 만들어집니다. 이 벽세포로부터 수소이온이 다량으로 만들어지는데, 염소이온과만나 염산을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염산은 소화효소 펩신을 활성화시키고 위 내부를 병원균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위산은 위의 벽에 있는 벽세포가 염화수소를 분비하면서 만들어집니다. 벽세포는 혈액에서 얻은 염화이온과 수소이온을 위로 내보내 결합시켜 염산을 형성하며, 이 과정은 소화 호르몬인 가스트린과 신경 자극에 의해 조절됩니다.

  • 말씀하신대로 음식물이 위로 들어오면 소화를 돕기 위해 위벽에 있는 특수한 세포들이 위산을 분비하게 됩니다.

    먼저 음식물이 위에 들어오면 위벽에 있는 세포들이 이를 감지하고 신호를 보냅니다. 그럼 신호를 받은 세포 내부에서는 양성자 펌프라는 것이 활성화됩니다. 이 펌프는 위 세포 안에 있는 수소 이온(H+)을 위 내강 쪽으로 능동적으로 이동시킵니다. 위 내강으로 이동된 수소 이온(H+)과 이미 존재하던 염소 이온(Cl-)이 결합하여 염산(HCl)이 만들어지게 되고 만들어진 염산은 위 내강으로 분비되어 음식물과 섞이게 되는 것입니다.

    위산은 강한 산성을 띠기 때문에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으로 분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음식물과 함께 들어온 세균을 죽여 감염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철분이 흡수되기 쉬운 형태로 변화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그러나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거나, 위 점막이 약해지면 속쓰림, 역류성 식도염 등의 소화기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위산은 벽세포(parietal cell)에서 수소 이온을 만들어 강산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위산은 펩시노겐을 펩신으로 전환시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위산은 위벽의 주세포에서 수소 이온과 연화 이온이 결합하여 생성됩니다.

    이과정은 위산 분비를 자극하는 호르몬과 신경 신호에 의해 조절이 된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