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고양이 털 색깔의 발현 시 신체 말단 부위가 주로 검은색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고양이의 끝부분의 색소가 진한이유는, 온도에민감한 멜라닌합성효소때문입니다.몸 중심보다는 귀나 발, 꼬리같은 말단부는 체온이낮아서 이러한 효소활성이 제한되고,그 결과 검은색과같은 어두운색소가 선택덕으로 발현되어서시암고양이처럼 체온에따른 색 패턴이 나타난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 중에 가장 오래 사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동물중에서 가장 오래사는걸로 알려진 종은 그린란드 상어라고합니다.400년 이상 생존가능한걸로 알려져있습니다.이외에도 육상에서는 거북이가 장수의 상징으로 100~200년정도의 수명을 갖고있습니다.이들은 대사속도가 느리고, 포식자가적고, 세포손상회복능력을 어느정도 갖고있기 때문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성 플랑크톤이 지구온난화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뒤산소를생성해냅니다.해양탄소순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하는 종입니다.일부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플랑크톤을 이용해서 해양탄소격리기술을 개발하고대기 CO2를 줄이는 방안을 찾고있습니다.다만 생태계가 끊임없이 영향을받고 효과의 지속성이 떨어지는문제가있어단독으로는 지구온난화의 해결책이 되기는 어렵다고 평가받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잠자리의 날개 진동 연구는 물리학적·공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잠자리의 날개 진동에대한 연구는 비행역학 측면에서 난류의 제어와 에너지 효율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의미가 있다고합니다. 또한 공기역학적으로는 이를 모방해서 소형 드론이나 마이크로 비행물체 설계에 적용해서기존 프로펠러 방식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비행기술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중에서 가장 많은 수면시간을 갖는 동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곰의 겨울잠은 휴면상태에 돌입하여 대사를 억제하는것을 중점에두고있기때문에,일반적인 수면상태와는 구별되는 현상입니다.코알라는 하루에 약 18~22시간을 자고, 박쥐는 최대 하루 20시간을자고, 나무늘보는 약 15~20시간을 잔다고 알려져있어, 이들이 수면시간이 긴 동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약품에대해 궁금해서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현재 농약과 제초제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연구들은 여전히 진행중에있습니다.또한 미생물을 활용한 생물학적 방제법이 개발되고있기도합니다.하지만 아직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소요될 예정이고, 현재 있는 농약과 제초제에대한안전수칙은 준수하며 사용해야하는 시기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강아지나 개가 호감있는 사람 앞에서 벌러덩 눕는 것은 모든 개나 강아지들의 공통적인 특징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강아지나 개가 사람앞에서 배를보이며 눕는행동은본능과 학습이 결합되어서 보여주는 사회적이 ㄴ신호입니다.하위개체가 상위개체에게 복종을 표시할때 비슷한 자세를 보이기는하지만,사람과의 상호작용하는 개는 호감과 신뢰의 표현으로 발달하였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멸종에대햐궁금해서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북극곰과 펭귄의 멸종위기는 주로 기후변화와 서식지의 감소 때문인데,과학자들은 해빙의 보전, 보호구역의 설정, 먹이사슬의 관리 등등 서식지 기반의 보전전략을 연구중이라고합니다.그래서 위성모니터링을 통한 해빙감소나, 인공먹이 공급실험, 펭귄은 남극해양보호구역의 지정과 번식지 보호연구가 진행되고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제초제에대해궁금해서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현대의 제초제와 농약은 독성이 낮아진제품들이 많지만, 장기간 반복노출이되면피부나 호흡기자극, 특정연구들에서는 암위험증가까지 보고되고있습니다.그래서 조경업체에서는 반드시 보호장비가 필요하고, 환기나 안전수칙 준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독버섯을 먹어도 중독되지 않는 동물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다람쥐나 곰, 일부 새들은 아마톡신이나 무스카린같은 독성을 분해하거나 흡수되지않게 처리가 가능하기때문에이를이용하는 독버섯들에게는 중독되지않습니다.그래서 특정 독버섯들에게있어서 이 동물들은 씨앗 확산자 역할이 되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