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프리저
프리저

제초제에대해궁금해서질문합니다.

30대중반입니다 조경일을 직업으로 하고싶은데 농약 및제 초제를 사용하는경우가 생길까봐 그런데 현재도 요즘 제초제나 농약은 인체에 해가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직업성암 백혈병같은거 때문에 미리 여쭈어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는 농약 자체은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농약은 등록 및 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고 있는데, 과거에 사용되던 유해 성분들은 사용이 금지되거나 엄격히 규제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개발되는 농약들은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 농역이 많고, 토양 내 잔류 기간도 짧은 농약들이 많습니다.

    물론 농약의 종류나 살포 방법, 개인 보호 장비 착용 여부 등에 따라 어느정도 잠재적 위험은 존재합니다. 특히 바람이 부는 날 살포하거나, 보호 장비 없이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서는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농약과 관련하여 암이나 백혈병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연구는 계속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 중 일부 연구에서는 농약에 직업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는데, 특히, 글리포세이트 같이 특정 성분이 위험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농약은 안정성이 어느정도 입증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현대의 제초제와 농약은 독성이 낮아진제품들이 많지만, 장기간 반복노출이되면

    피부나 호흡기자극, 특정연구들에서는 암위험증가까지 보고되고있습니다.

    그래서 조경업체에서는 반드시 보호장비가 필요하고, 환기나 안전수칙 준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현대 제초제와 농약은 과거에 비해 안전성이 향상되었으나, 인체에 완전히 무해한 것은 아니며 직업적으로 장기간 노출될 경우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일부 제초제 성분은 국제암연구소에서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하기도 했으며, 지속적인 피부 접촉이나 호흡기를 통한 흡입은 신경계 질환, 피부 질환 및 특정 암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조경업 종사 시에는 반드시 방독마스크, 보호복, 장갑과 같은 개인 보호 장비를 철저히 착용하고, 안전 사용 수칙을 준수하여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
  • 조경 업무에서 제초제나 농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잡초 제거용 화학물질인 제초제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글리포세이트가 있으며, 곤충이나 진드기, 균류 등의 해충 방제용 농약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유기인계가 있습니다.

    이때 제초제나 농약과의 장기적 노출은 체내 축적, 만성 독성, 발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는데요, 급성 노출의 경우에는 구토, 설사, 피부 발진, 호흡곤란 등이 문제 될 수 있으며, 만성적으로 일부 제초제나 농약은 발암성 가능성(IARC 등급) 보고되었습니다. 따라서 노출 정도와 개인 보호구 사용 여부가 결정적인 요소인데요, 적절한 PPE(장갑, 보호복, 마스크, 고글) 착용 시 위험은 크게 감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바람이 있는 날 분무를 피하고 혼합 및 취급 시 환기 좋은 장소에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