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생물중에서 임신과 출산을 하지 않고 복제가 되는 생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임신이나 출산없이 자가복제로 번식을하는 생물도 존재합니다.이른바 무성생식이라고 하는 방법입니다.대표적으로 세균이나 아메바, 효모와같은 단세포생물들이 있는데이분법이라고하는 방식을 통해 일정시간마다 하나의세포가두개로나뉘어 개체수를 늘려가납니다.일부 다세포생물도 무성생식을하는데,히드라나, 해파리, 플라나리아와같은 동물들은출아법이나 조직재생을통해서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냅니다.일부 곤충이나 어류, 파충류도 단위생식을하는데,암컷이 수컷없이 알을낳아 새로운 개체를 만들수있다고합니다.꿀벌이 일벌을 낳는방식이나, 일부 도마뱀들이 이러한 방식을 사용한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Q. 신체 바이오리듬을 관리하는 기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우리몸의 시상하부쪽에 위치한 시교차상핵에서는 신체의 생체시계역할을 합니다.하루를 24시간으로 인식하고 우리의 수면-각성주기나 체온, 호르몬분비 등의 리듬을 조절한다고합니다.주로 빛에 반응하여 작동하고, 눈을통해 들어온 빛정보가 시교차상핵에 전달되면생체리듬을 조정한다고합니다.또한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도 바이오리듬 조절에 관여하는데,동일하게 시교차상핵의 지시에따라 분비되고 빛이 적어지면 분비가 증가하며수면을유도하게 됩니다.이러한 방식으로 하루 일상생활의 리듬을 조절해주게 됩니다.감사합니다.
Q. 성경의 창세기에 아담과 이브시대에는 사람의 수명이 700년 900년이 되곤했는데 그때의 사람들은 자연의 환경이 좋아서 오래살았을까요? 아니면 연령계산법이 달라서였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첫번쨰로 자연환경요인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자연환경이 오염되지 ㅇ낳고 순수한 상태였기 때문에 인간싀 수명이 더 길었을 가능성이 있다고합니다.또한 신의 축복을 받아 더 건강하고 오래살았다고 믿는 해석도 있습니다.두번쨰는 당시 연령계산법이 달랐을 수 있는데, 실제로 고대 문헌에서는계산하는 방식이 현대와 매우 다르거나 상징적인 의미로 사용된 경우가 있습니다.세번째는 단순히 신화적, 문학정 장치로 보는 의경도 있습니다.고대기록에서 인물들의 중요성이나 신성함을 부각하기위해 과장된 표현을사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결론으로 창세기 인간의 수명기록에 대한것은 그어떠한 직간접적인 증거는 없고 추측이거나 신앙적, 문학적관점에따라 다르다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