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기온이 체온과 똑같으면 우리 몸 온도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실제로 우리몸 내부의 열을 배출하기위해서는 피부위의 땀이 증발하면서 열을 가지고 나가거나 피부가 공기에직접 열을 전달하여 체내 열을 빠져나가도록 해야합니다.하지만 바깥기온이 체온보다높으면 오히려공기가 체내로 열을전달하는 효과가 발생하기도하고 여기에 습한공기까지만들어지면 습기에의해 땀이 증발하지못하면서 열이 바깥으로 거의 빠져나가지 못합니다.우리 신체는 대부분 단백질로이루어져있고 특정 온도이상 올라가면 단백질 변성이 일어나거나 그전에 효소활성도가 매우떨어져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그래서 외부 공기온도가 체온보다 높은상황이라면 왠만하면 피해서 건물내부로숨어 온도가낮은곳에 있거나, 양산과같은 가리개를 써서 햇빛에의해 직접 피부주변 공기가 뜨거워지는것을 방지해주는것이 좋습니다.최근 이러한것들을 잘 알지못하고 그냥 활동을하다가 열사병이 발생하고 쓰러져서 죽는사람들도 속출하고있기때문에 조심해서 생활하시는것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맞춤아기가 뭔줄 아시는지요? 유전자재결합으로 맞춤 아기를 생산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현재 인간의 게놈지도가 거의 완성 또는 완벽히 완성되었다고 평가되는 수준이기 때문에어떤질병에 어떤취약점이발생하고 어떤 유전자서열과 관계되었는지 대부분 알 수 있다고 합니다.또한 크리스퍼 가위등을 활용하여 이러한 유전자 서열의 변경이 가능해지면서 유전자치료의 폭도 한층 넓어지고 있는 상태입니다.아직은 윤리적으로 태아에대한 유전자 서열 변경등은 할 수 없지만,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는 것입니다.예를들어 유전적으로 특정 질병을 계속해서 후대에게 남기고있던 가정에는 이런 유전적 질병을 일으키는 서열을 변화시켜 유전병이 더이상 후대에 전달되지 않도록 수정하는 방식으로 좋은 효과를 노릴 수 있지만다르게는 큰 키나 매력적인 외모, 근육발달 등등 사람들이 매력적으로 느낄만한 요소들만 골라서 유전자에 삽입할 수 있다고도 얘기할 수 있습니다.실제로 중국의 한 연구원이 이러한 유전자 변형을 일으킨 태아를 만들었고 윤리적으로 문제가 되어 감옥에 간 사례가 있기도 합니다.이런식으로 이미 법적으로 규제가 풀리지 않았음에도 암암리에 시행되고 있는 문제가 있기때문에아직은 공식적으로 규제를하여 전세계적으로 비난을 받도록 하는 시스템 하에 남아있습니다.개인적으로는 유전병으로 고통받는 가계에 대한 맞춤아기나 후천적인 유전질환을 위해 유전자치료용 세포를 만드는 정도까지는 허용해주는것이 오히려 윤리적으로 더 맞지않나 싶습니다. 기술적으로는 충분히 해결이 가능함에도오직 윤리적 규제만을 위해 고통을 감수하게 해야하기 때문이죠물론 누구는되고 누구는 안되고와같은 기준의 모호성때문에 시행을 섣불리 하지 못하는 이유도 있을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에 농약을 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모든작물들을 비닐하우스 안에서 관리하기는 어렵습니다.왜냐하면 갖고있는 농지가 넓은경우 모두 비닐하우스 화 하는게 어렵고비닐하우스 설치에따른 노는 토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손해가 발생합니다.그래서 오픈된 상태에서 작물들을 넓게 키우는 경우가 많은데,이 경우에는 농약을 뿌려 병충해로부터 방어를 합니다.예전에는 지용성 농약을 사용했기때문에 소비자가 과일이나채소를 받아서 열심히 닦아도 잘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지만최근에는 그 독성이나 부작용이 잘 알려지면서 수용성 농약으로 대체되었습니다.이러한 수용성 농약은 수확된 과일이나 채소를 물에 몇분만이라도 담구어두면바로 물에 녹아서 흘러갈 수 있는 성분들이기 때문에소비자가 농약을 먹고 체내에 축적하는 등의 부작용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다만 비가오면 농작물에 있던 농약이 씻겨나가므로다시 농약을 쳐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소비자들을 위하는 농민분들께서는 이러한 것을 개의치않고수용성 농약을 잘 사용하고 계십니다.농약은 보통 전염병의 피해보다는 해충에의한 상품손상을 막기위해서 뿌려집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안녕하세요 가난한 중고노인네입니다 . 남자가 늙어갈수록 토스테스테론?인가 남성성이 약해진다고 하는데 여성화되어간다는 말인지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남성은 나이가 들면서 신체적, 생리학적 변화로 남성성이 사라지고 여성적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주로 호르몬 변화에 관련이 있고, 말씀주신것처럼 테스토스테론의 감소에 의한 영향이라고 합니다.먼저, 남성이 나이가 늘수록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점점 감소한다는 것을 다룬 내용을 담고있는 연구로,이러한 테스토스테론 수치감소가 근육량, 성욕, 에너지수준 등등을 점차 감소시킨다고 합니다.(Harman, S.M., et al. (2001). "Longitudinal effects of aging on serum total and free testosterone levels in healthy men."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마찬가지로 테스토스테론이 감소하는 동시에 에스트로겐의 상대적 비율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이고,이때문에 남성의 체지방 분포 증가, 감정상태 동요, 성적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Vermeulen, A., et al. (2002). "Testosterone, body composition and aging." Journal of Endocrinological Investigation)이러한 남성의 중년기에 발생하는 테스토스테론의 감소와 여성성증가 등의 현상은 안드로포즈(남성갱년기)라고 하고일반적인 남성의 행동이 감정적인 반응을 증가시킨다는 내용의 연구도 있습니다.(Morley, J.E., et al. (2000). "Andropause: an update and review." The Journal of Aging & Clinical Research)정리하면, 기본적으로 테스토스테론의 감소에의해 일어나고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의 상대비율과도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든 건강이나 생활방식에 따라 바뀔 수 있고, 특히 운동을 열심히 하는 남성들에게는이러한 테스토스테론의 저하현상이 늦게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안녕하세요 가난한 중고노인네입니다 . 여자가 나이가 들수록 생식능력이 떨어지는 이유가 과학적으로 관찰이나 증명된것이 있을까요? 생리?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나이가 들어감에따라 여성들의 생식능력은 확실하게 떨어진다고 합니다.이러한 내용에대한 연구들에 대해서 여러개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먼저 난소의 기능은 35세 이후 급격히 감소하고 임신확률이 줄어든다고 합니다.난소에 드렁있는 난소의 수와 질이 감소하는 현상을 다룬 논문의 내용입니다.(Broekmans, F.J., et al. (2009). "Female reproductive ageing: current knowledge and future trends." Trends in Endocrinology & Metabolism)이와 비슷하게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의 여성과 35세 이후 여성과의 임신 성공률에 대해정량적으로 분석한 내용의 연구입니다.(Dunson, D.B., et al. (2002). "Day-specific probabilities of clinical pregnancy based on two studies with imperfect measures of ovulation." Human Reproduction)이런 임신 비율 외에도 분자학적으로 염색체의 이상확률을 증가시킨다는 내용의 연구도 있습니다.고령 임신 시 유산의 위험에 대해서 내용을 다루고 있고 염색체 비정상성 발생률에 대한 연구입니다.(Pellestor, F., et al. (2003). "Maternal aging and chromosomal abnormalities: new data drawn from in vitro unfertilized human oocytes." Human Reproduction)이렇게 주로 임신확률이 떨어지는것을 직간접적으로 관측한 논문이나 연구들이 여럿 존재하고 보고되고 있습니다.생물학적으로 나이 자체가 임신 가능성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뜻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초당 옥수수는 개량 풍종인가요? 아니면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초당옥수수는 당도가 높은 옥수수 품종 중 하나입니다. 개량하기 이전에도 원래 당도가 높고 아삭한 식감이 있어서 단맛을 좋아하고 이런 식감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좋은 옥수수 품종이었습니다.이런 옥수수는 원래 열을 가해 조리해야하지만 조리하기전에도 단맛이 계속 유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생으로먹거나 샐러드에 넣어서 먹기도 합니다.이런 초당옥수수를 다시 개량을 하기도 하는데요, 조금더 높은 당도를 원하는 소비자를 위한 옥수수나 아삭한 식감을 더하기 위해 개량을하기도 하구요, 병충해에대한 저항성을 높인 초당옥수수나 수확량이 더 많아지도록 만든 개량 초당옥수수도 존재합니다.최근 소비자들은 더 높은 당도와 신선한 맛으로 느끼는 아삭한 식감을 선호하기때문에 초당옥수수가 원래 가진 특징을 부각하기 위해서 품종을 갸량한다고 보시면 됩니다.가장 유명한 품종으로는 슈퍼스위트콘 이런식으로 명칭이 정해져있기도 합니다.정리하면 초당 옥수수 자체 품종이 존재하고 굳이 개량을하지않아도 달콤하고 아삭한 식감이 존재하는 옥수수이지만, 이런 특징을 부각시키거나 다른 이유에의해서 품종개량한 제품들도 존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구매하기전에 판매자에게 물어보거나 포장지겉면을 살펴보시면 이런 내용이 담겨있을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한참뒤의 미래인류는 여자도 대머리가 될 가능성이 클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사실 머리카락을 진화를 거듭해서 탈락시켜야 할 이유가 굳이 없습니다.왜냐하면 머리카락은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두피를 보호할 뿐 아니라 각종 유해물질을 방어해주기도하며,물리적인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재역할을 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점점 자외선이 강해지고 햇볕이 뜨거워지고 있는 지금 이러한 기능을 가진 머리카락이 퇴화되어 사라지는 현상이 굳이 일어날 이유가 없습니다.심지어 최근 전세계적으로 미세먼지가 많아지고 각종 이물질들이 공기중에 떠다니고 있어 신생아들의 콧속털이나 눈썹의 길이를 매년 측정해보면 점점 길어지고 있는것을 알 수 있다고 합니다.즉, 공기 질 측면에서도 체모는 점점 늘어나는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더욱이 남성호르몬이 적은 여성에게서는 이러한 증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특별히 환경이 급격히 변하여 피부 재질자체가 바뀌거나 모공의 형태가 사라지면서 두꺼운 피부가 만들어지고머리카락이 아니더라도 이런것들이 보호를 해 줄 수 있는 수단으로 바뀐다면 머리카락이 사라질수는 있겠습니다.실제로 과거 유인원시절부터 현대사회로 넘어오면서 옷이나 의복의 발달, 집과같은 보호수단이 많아지면서 인류 전체의 체모가 감소해왔던것은 사실입니다.앞으로 이런 영향들이 인체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 정확히 알아야 미래를 예측할 수 있지만, 당장 가까운 미래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긴 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개미중 제일 큰 것과 제일 작은 것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한국에는 다양한 개미들이 살고있는데, 가장 큰 개미는 불개미로 불리는 종입니다.영어학명으로는 Camponotus japonicus라고 하는데, 일개미가 7~12 mm 정도 될정도로 매우 큽니다.심지어 여왕개미는 20 mm정도, 즉, 손가락 1.5 마디 정도로 엄청나게 큽니다.작은 개미로는 도둑개미라는 종인데 영어학명으로는 Monomorium paharaonis라고 한느 종입니다.일반적인 개미의 길이가 약 1.5~2 mm 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에 간혹 사람들은 실개미라고 부르기도 합니다.이런 크기를 비교해보면 작게는 약 5배정도, 크게는 약 8배정도의 크기차이를 보이고 여왕개미까지 포함하면 차이는 10~12배이상 크게 납니다.불개미은 주로 큰 집을 만들지는 않지만 땅굴을 게속 확장하면서 서식지를 넓혀나가기 때문에 많은 곤충들과 충돌을 할 수 있는 종이기도 하고 크기도크고 힘도좋아 곤충계에서 상다안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합니다.도둑개미는 자연에서는 잘 발견되지않고 주로 인간 활동범위에서 잘 발견되는데,잡식성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흘린 단 음식이나 기름기있는 음식, 육류 등등 가리지않고 먹이자원을 찾아다닌다고 합니다.잡식인 인간근처에서 잘 발견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크기가 작고 번식력이 높아서 넓고 많은지역으로 퍼질 수 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방과 나비 어떤 차이점이 다른거죠??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먼저 생김새의 차이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나방이나 나비 모두 몸통만큼 큰 날개를 가지고 있기에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일단 나비는 날개를 위로 접은형태로 몸을 위로 덮고있는 방식으로 앉아있습니다.하지만 나방은 몸에 평행하게 넓게 펴서 앉거나 벽에 납짝붙어있는듯이 앉아있습니다.또한 나비의 더듬이는 보통 가늘고 끝부분이 곤봉처럼 뚱뚱한 핫도그모양을 하고있습니다.하지만 나방의 더듬이는 끝이 깃털모양이나 톱니모양으로 생김새가 매우 다릅니다.그리고 나비는 보통 나방보다 훨씬 날씬하고 가벼운 체형을 가지고 있어 날아다닐때에서 나풀나풀 다닙니다.하지만 나방은 몸이 두껍고 무겁고 털이 많고 날개가 둥글둥글해서 새처럼 파닥파닥 하고 날아다닙니다.또한 나비는 주로 화려하고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있고 이러한 무늬를 잘 관측할 수 있도록 여러개의색을 잘 구분할 수 있는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나방은 보통 갈색이나 회색 등 보호색으로 위장하고 있습니다.이런 외형적인 특징 외에도나비의 활동시간은 주로 낮이고 꽃을 찾아다니는 활동을합니다. 하지만 나방들은 대부분 야행성이고밝은 빛에 끌리는 호광성을 가지고 있습니다.이런 많은 차이점을 알고있다면 나방이나 나비처럼 생긴 곤충을 보았을때생각보다 구분하기 쉬운특징들인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갓 태어난 아기들은 태어나기 전 기억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태아시절에도 뇌세포가 많이 형성되어있는 상태이고, 태어난 뒤 계속 영양공급을 받으며 뇌세포와 신경아교세포등이 계속해서 자라나며 더 많은 생각과 기억공간이 창출됩니다. 이런 신경세포들이 계속해서 자라면서 재배치되고 재연결되며 완전 어릴적기억들은 성인이되어가며 거의 사라져버립니다.다만 이런작용이 일어나기전에는 이전상황에 대해서 기억할 수 있다고합니다. 특히 이전상황을 기억했다는것조차 까먹게되겠지만 완전 어리지만 어느정도 소통을 하려하는 나이인 3~4살이 되면 기억이 나는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다만 대부분 4~5살이되면 이전기억이 거의 소실되고 현재의 경험들을 새로쌓아나가는작업을 하기때문에 기억을 하지못하는 아이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또한 태아시절과 비슷한 환경에 노출시켜주면 편안함을 느낀다는 연구결과와같이 진공청소기 소리나 자동차의 흔들림 속에서 편안하게 잘 자는 아이들을보면 이전기억이 남아있다고 느낄 수 있고 과학적으로도 일리있는 추정이라고합니다.정리하면 몇몇아이들은 어릴때 태아시절의 기억이 남아있을 수 있고 이를 표현할 수도있지만 다른 몇몇의 아이들은 기억을 하지못할 수 있습니다.
2162172182192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