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이상훈 전문가
상명대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스탈린은 왜 중국 공산당의 최초 주석인 마오쩌둥을 싫어했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당시 소련은 중국에 비해 국제사회에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공산주의 이념도 소련의 레닌에 의해서 정립된 사상인만큼 중국은 여러모로 소련에 기대어 있는 형국이었습니다. 하지만 소련의 스탈린과 마오쩌둥은 혁명관의 차이를 보였으며, 마오쩌둥은 스탈린에 겉으로는 고분고분하게 보여도 혁명 노선을 둘러싸고 둘은 상당한 견해차이를 보였다고 합니다. 이런 혁명 노선의 차이는 후에 소련과 중국간의 군사 충돌로 번지면서 두 나라는 소련이 핵무기를 사용하는 것까지 고려하는 일촉즉발의 사태로 번지려했지만 미국의 중재로 넘어가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내림이라고 하는 것들이, 그리고 굿 이라는것도 왜 다른나라에는 없고 우리나라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이른바 신내림이라고 하는 강림, 영매등은 외국에서도 자주 보입니다.프랑스의 구국 영웅인 잔다르크도 어찌보면 이런 신내림중 한명이라고 보여지네요.반대로 이게 나쁜 악령이나 신이 깃들면 오멘이나 엑소시스트같은 영화에서 보던 그런 악령들린 사람이 되는거구요.어쨌든 동서양을 막론하고 신내림, 또는 빙의에 대한 사례는 역사를 통해서 무척 많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김옥균님이 왜 3일천하가 되었는지 그 원인을 알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김옥균은 서광효, 서재필등의 급진개화파였으며 청나라의 내정 간섭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하여 갑신년에 정변을 일으켰습니다. 하지만 일본군을 끌어들여 민심의 저항을 초래했을 뿐 아니라 고종의 지지도 얻지 못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결국 청군에 의해 진압당하고 맙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단일 규모로 최대의 사상자를 낸 전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전쟁이 아닌 한번의 전투에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전투는 독일이 소련 스탈린그라드에서 벌인 전투입니다.약 6개월동안 벌어진 전투에서 200만명의 전사자가 발생했다고 전해집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을파소는 어떤 생애를 살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을파소는 서압록곡 좌물촌 사람으로 고구려의 재상이었던 을소의 후손입니다. 당시 고구려는 차대왕의 폭정을 뒤로 어비류, 좌가려등 국정을 농단한 간신들이 일으킨 반란을 제압하고 고국천왕이 왕위에 올랐습니다. 고국천왕은 포부가 큰 임금이었습니다. 그는 혼란을 뒤로 하고 고구려를 안정시키고 싶었기에 여러 개혁을 실시했습니다. 5부를 귀족중심에서 지역 중심으로 개편을 하였고 널리 인재를 공평하게 등용하고자 했습니다.5부에서 안류를 추천했으나 정작 안류는 자신이 부족하다며 을파소를 대신 천거하였습니다.고국천왕이 을파소의 뛰어남을 알고 그를 중외대부에 임명하려 하자 을파소는 오히려 이를 거부하고 더 뛰어난 사람에게 더 높은 직위를 주어 왕의 원하시는 바를 이루라고 대담한 태도를 보입니다. 이런 자신감이 고국천왕은 맘에 들었는지 을파소를 더 높은 직위인 재상에 임명합니다. 명문가의 후손이라 하나 농사나 짓던 을파소를 높은 직위에 임명하자 귀족들과 대신들의 반발이 심했습니다. 하지만 을파소에 대한 고국천왕의 신임은 흔들리지 않았습니다.을파소는 전심전력을 다해 국정을 살피니 백성들이 편안하고 내정이 안정되었습니다. 이에 고국천왕은 그를 추천한 안류에게 공을 치하하며 대사자에 임명하였습니다. 194년 7월에 서리가 내려 백성들이 굶주렸는데 이에 을파소는 굶주린 백성들을 구휼하는 한편, 관리들을 시켜 봄~가을의 기간 동안 곡식을 빌려 주었다가 10월에 갚게 하는 진대법 실시하였습니다. 그는 고국천왕의 사후 산상왕대에도 국상으로 많은 업적을 쌓았으며 그가 죽게되니 온 백성이 함께 슬퍼하였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차돈의 생애에 대해서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신라하면 불교가 국교로 크게 융성한 나라라고 알고 있는데 처음부터 이게 쉬웠던 것은 아닙니다. 신라에서는 민간 신앙등이 크게 자리잡고 있어서 불교에 대한 거부감이 컸습니다. 이는 귀족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나라 를 하나로 단합시키기 위해 국교의 필요성이 컸기에 당시 군주인 법흥왕은 고민이 많았습니다.이에 이차돈이 불교의 영험함을 보이기 위해서 자신이 희생하겠다고 나섭니다. 후에 조정회의에서 불교 도입을 놓고 신하들이 반대를 하고 이차돈이 그런 신하들을 잘못되었다고 직언을 합니다. 미리 말을 맞춘대로 법흥왕은 이차돈을 꾸짖으며 그의 목을 베게하자 그 목에서 흰색 피가 솟아나오고 꽃비가 내리고 땅이 요동치는 등의 이적이 일어나 많은 사람들이 그 뒤로 불교를 믿게 되었고 국교로서의 승인또한 이뤄졌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호랑이와 까치의 설화 내용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호랑이와 까치는 우리 민족과 친숙한 동물입니다.떄문에 "호작도"라는 장르로 그림으로 많이 그려지기도 했습니다. 19세기에는 민화에서도 유행을 하였는데 주로 호랑이는 바보스럽게 표현되고 까치는 당당하고 힘있게 묘사됩니다. 호랑이는 탐관오리와 같이 힘과 권력있는 사람을 상징하고, 까치는 민초를 대표하는데 민화에서는 이를 풍자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민간 설화에서 호랑이는 그 위엄으로 액막이등에 주로 등장하고 까치는 좋은 소식을 전하는 길조라고 인식한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민초들의 사회의식과 저항정신이 발전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백두산의 일부가 중국 영토로 편입되게 된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백두산정계비는 조선후기 조선과 청국 사이의 국경선을 표시하기 위해 백두산 부근에 세운 정계비입니다. 청나라는 건국 이후 간도지역을 자국의 발상지라 하여 봉금지역으로 선포하고 사람의 이주를 금하였는데 이후 불모지로 방치되어 국경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조선 백성들이 간도쪽으로 넘어와 터전을 일구는 일이 많아졌습니다. 이에 양국은 1711년 국경 확정을 논의하고 정계비를 세웠지만 일본이 간도협약에서 철도부설권을 얻는 대가로 간도 지방을 청나라에 넘겨주고 말았습니다. 백두산을 비롯한 간도의 지배권에 대해서는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그 지배권을 요구해야하지만 현재는 북한이라는 장벽이 있고 북한이 경제지원등을 목적으로 자원이나 백두산에 대한 권리를 중국에 넘겨주려는 움직임이 있어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처벌방식중 하나인 조리돌림이라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조리돌림이란 죄를 지은 사람을 벌하기 위하여 끌고 돌아다니면서 망신을 시키는 것을 말하는데요.현대에는 일부 독재국가, 공산국가를 제외하고는 인권등의 문제로 이런 형벌은 없어졌습니다.현대사회에 들어서도 형법으로서만이 아니라 사적 제재로도 자행되었던 형벌로 우리나라에서는 이승만 정부시절정치깡패라 불리웠던 이정재등이 공개적으로 '나는 깡패입니다. 국민의 심판을 받겠습니다'라는 팻말을 목에 걸고 덕수궁에서 종로까지 조리돌림을 당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의 유교문화와 반대되는 집대성학문은 무엇이죠?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조선은 유교에 기반한 성리학의 나라였습니다.이에 반대되는 학문은 조선 후기부터 유행한 실학을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실학자들은 대부분은 천주교도 함께 믿었으며 실학 사상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이었기에 유교의 관념과 이념주의에 반대되는 학문이었습니다. 때문에 대대적인 탄압으로 인해 많은 실학자들이 귀양을 가거나 목숨을 잃어야했습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