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3세 여아의 또래와의 첫 사회 경험, 어떻게 도와줄까?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3세 여자아이가 처음 어린이집에 가서 낯선 환경과 새로운 사람들에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집에서도 등원 시간이나 식사, 낮잠 등 어린이집의 일과를 연습해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선생님과 친해질 수 있도록 “선생님은 엄마, 아빠가 믿는 좋은 분이야”라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고 부모가 선생님과 밝게 인사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는 더 안심할 수 있습니다. 또래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도록 평소 가족 모임이나 친구 집 방문 등 놀이 기회를 자주 마련해 주고 집에서 역할놀이를 하며 인사와 간단한 대화 연습을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등원 시에는 짧고 분명하게 인사하고 “엄마(아빠)는 곧 데리러 올게”라는 약속을 지키는 것이 아이의 안정감과 신뢰 형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Q. 3세 여아의 그림 그리기, 미술 놀이 확장법은?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3세 여자아이가 낙서와 그림 그리기를 즐긴다면 다양한 미술 재료와 도구를 경험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색연필, 크레파스, 물감, 스탬프, 스펀지, 자연물 등 여러 가지 재료를 자유롭게 사용하게 하면 아이는 다양한 질감과 색감을 탐색하며 창의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그림 그리기 외에도 손바닥 찍기, 종이 오리기, 콜라주, 스티커 붙이기 등 미술 놀이의 형태를 다양하게 확장해주면 아이가 자기만의 표현 방식을 찾아가는 데 도움이 됩니다.아이의 그림이나 작품에 대해 “이건 뭐야?”라고 묻기보다는 “여기 색이 정말 예쁘구나”, “이렇게 크게 그렸네”처럼 구체적인 관찰과 칭찬을 해주면 아이는 자신의 표현이 존중받는다는 느낌을 받으며 자신감을 갖게 됩니다. 미술 놀이를 놀이처럼 즐기되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요하게 여겨 아이가 자유롭게 상상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세요.
Q. 3세 여아의 “엄마 아빠 따라히기” 행동, 긍정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3세 여아가 엄마 아빠의 말과 행동을 따라하는 시기를 긍정적으로 활용하려면 부모가 일상에서 바른 생활 습관과 예절, 올바른 언어를 먼저 실천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예를 들어 부모가 손 씻기, 인사하기, 정리정돈을 자연스럽게 실천하면서 “엄마처럼 손을 씻어볼까?”라고 함께 해보자고 제안하면 아이는 놀이처럼 따라 하며 습관을 익힐 수 있습니다. 또한 아이가 바른 행동을 했을 때는 “혼자 인사했구나, 정말 멋지다”처럼 구체적으로 칭찬해 주면 긍정적인 행동이 자연스럽게 강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