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동차구입시 공동명의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원복 보험전문가입니다. 자동차도 재산이므로 구입시 취등록세를 내게 됩니다. 공동명의를 하게 되면 각자의 과세표준이 낮아져서 세율 또한 낮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고가의 차량이 아니라면 큰 의미는 없습니다. 타인과의 공동구매라면 재산상의 권리로 인해 공동명의가 필요할 수도 있겠지만, 가족 간에 구입하시는 것이라면 굳이 공동명의를 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한편, 자동차보험 가입시 운전자로 지정하여 등록된 사람은 모두 운전경력이 인정되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기 바라며,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Q. 병원력 고지한다고할때 일반체가유리한지 간편이 유리한지?
안녕하세요. 이원복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가입시에 알릴의무는 이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 표준체 가입을 위한 알릴의무란 입니다.질문자님께서는 첫번째 조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는데, 3개월이 지나면 이 또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당장 시급한 문제가 아니라면, 간편가입으로 보험에 가입하실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할증된 보험료를 납입기간 내내 내실 필요는 없는 것입니다.병원 진료나 검사 등을 3개월 정도 미루신 후 표준체로 보험에 가입하시길 권유드립니다. 그리고 그 이후에 원하시는 진료와 검사를 진행하세요. 도움이 되셨기 바라며,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Q. 보험청구해야되는데 병원에서 서류준비를 안해주는데 어떻게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복 보험전문가입니다. 참으로 흔치 않은 황당한 경우를 당하셨군요. 이건 전적으로 병원의 실책입니다. 미용목적이 아니라는 팩트는 불변이고, 병원측도 동일한 입장일 테니, 보험사측에 현장조사를 나가서라도 보험금을 지급해달라고 강력하게 요구하세요. 보험사는 아주 큰 금액이 아니면 보험금 지급을 해줄 겁니다. 보험사가 원하는 건 팩트인데, 병원측도 팩트를 확인해주려고 애쓸 거고요. 아무튼 번거롭게 되셨네요. 수고스럽지만 당연히 받아야 할 보험금을 포기할 수는 없죠. 병원에 대한 소송은 너무 번거롭고 힘겨운 과정이기에 권유드리고 싶지는 않습니다.도움이 되셨기 바라며,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