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이원영 전문가
아주스틸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성 플랑크톤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내뱉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광합성을 하여 에너지를 얻기 때문입니다. 식물의 특성은 광합성을 한다는 것입니다. 광합성은 이산화탄소와 물, 빛을 이용하여 포도당을 얻고 산소를 배출하는 반응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의 수명을 측정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상에서 가장 많은 관측 기록을 가진 별은 태양이다. 그래서 금속원소 함량, 별의 광도, 수명 같은 별의 몇몇 값들을 태양을 기준으로 나타내곤 한다. 일반적으로 태양의 수명은 100억년이라고 들었을 것이다. 이러한 값은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산출된 값이다.태양의 질량과 광도1) 태양의 질량, 광도 등의 정보를 모두 알고 있다. 2) 주계열성에서의 에너지 반응은 핵융합에 의해서 일어나고, 4개의 수소가 1개의 헬륨으로 핵융합이 일어나는 동안 수소 원자 1개당 약 0.0072 만큼의 원자량 손실이 있으며 이것이 에너지로 방출된다.3) 별의 질량 중 10%만이 주계열에서의 핵융합 반응에 참여한다.4) 낼 수 있는 에너지의 총량 ÷ 별의 광도 = 별의 수명 이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다와 민물에서 같이 살수있는 어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민물과 바다물에서 같이 살 수 있는 어종이 있다.이러한 어종을 기수어라고 한다(민물과 바다물의 중간 농도 정도의 농도에서 잘 산다)식용으로 쓰는 어종 중에도 역돔,은어,숭어,전어등 많은 종류들이 같이 살 수 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자외선 차단제가 효과가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물리적 자외선차단제는 피부에 닿은 자외선을 물리적으로 반사시켜 피부를 보호한다. 발랐을 때 피부 위에 무기질 원료로 얇게 방어벽을 친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 때문에 물리적 자외선차단제는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라고도 부른다.화학적 자외선차단제는 피부로 오는 자외선을 유기성분이 흡수해 열에너지로 전환시켜 피부를 보호한다. 자외선차단제가 자외선을 열로 바꿔 전달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화학적 자외선차단제는 유기계 자외선차단제라고도 부른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박테리아의 존재는 누가 처음 발견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1676년 네덜란드의 현미경 학자 Antonie van Leuwenhook은 자신이 디자인한 단일 렌즈 현미경을 사용하여 처음으로 박테리아를 관찰했습니다.그런 다음 그는 런던 왕립 학회에 일련의 편지에서 자신의 관찰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박테리아는 Leeuwenhoek의 가장 놀라운 현미경 발견입니다.Christian Gottfried Ehrenberg는 1828년에 "박테리아"라는 용어를 도입했습니다.사실, 그의 박테리아는 1835년 Ehrenberg에 의해 정의된 포자 형성 코리네형 박테리아인 바실러스와는 대조적으로 비포자 형성 코리네형 박테리아를 포함하는 속이었습니다.Louis Pasteur는 1859년에 미생물의 성장이 발효 과정을 유발하고 이 성장이 자발적이지 않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파스퇴르는 동시대의 로버트 코흐와 함께 질병의 세균 이론을 초기에 옹호했습니다.의료 미생물학의 선구자인 Robert Koch는 콜레라, 탄저병 및 결핵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코흐는 마침내 결핵에 대한 연구에서 세균학 이론을 입증했으며, 이 공로로 1905년 노벨상을 수상했습니다.Koch의 가설에서 그는 유기체가 질병의 원인인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했습니다. 이러한 가정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됩니다.Ferdinand Korn은 1870년부터 박테리아를 연구해 온 박테리아학의 창시자라고 합니다. Conn은 형태로 박테리아를 분류한 최초의 사람이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비가 내리고 나서 노랗게 남아 있는 자국들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아마도 그것은 봄철에 송화가루가 아닐까 싶은데, 꽃가루가 날리다가 빗물 때문에 생긴 자국인것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프리온의 존재는 어떻게 발견됐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감염매개체로서의 단백질에 관한 가설은 60년대 런던에서 활동하던 Tikvah Alper와 John Stanley Griffith가 제시했고,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스탠리 프루시너(Stanley B. Prusiner)가 1982년 가설로만 존재하던 감염성이 있는 단백질의 정제에 성공하여 '프리온'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이것이 비정상적인 형태로 바뀌면 신경세포를 죽이는 형태의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즉, 최초 발견자는 스탠리 프루시너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은 어떤 원리로 빛을 내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 핵융합 반응을 하는 태양의 중심부 온도는 약 1500만℃, 압력은 100억 기압 정도입니다. 수소 폭탄처럼 수소 원자 네 개가 헬륨 원자 한 개로 바뀌는 핵융합 반응이 계속 일어나 막대한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이지요.핵융합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빛과 열을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왜 속도가 빨라지면 하늘로 뜨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그것은 양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자동차가 빨리 달리게 되면 공기의 흐름이 생깁니다. 그 흐름이 자동차 위로 또 아래로 갈라져 흐르게 되죠. 그런데 자동차 구조상 위쪽은 유선형으로 되어 있어 공기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빠르고 아래 쪽은 느리게 흐름니다. 그럼 윗쪽의 압력이 낮아져 자꾸 위로 가려는 힘이 커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하늘로 뜨려고 하는 것입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일본이 우라나라의 지진을 막는 역할을 한다는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에서 지진이 일어나면 쓰나미가 발생합니다. 그러면 해안가는 큰 피해를 입게 되죠그런데 지진은 주로 일본 동쪽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 지진에 의한 쓰나미가 일본이라는 땅이 없었다면 우리나라 남해안과 동해안에 그대로 전달되어 왔을 것입니다. 다행이라고 할까 그 쓰나미를 일본이라는 땅이 다 막고 있는 셈이죠
2462472482492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