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이원영 전문가
아주스틸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화석은 어떠한 원리로 현재의 우리에게 드러나게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석이 생기는 원인은 생물의 사체가 토사에 묻히게 되고 이것에 강에서 흘러온 토사 또는 다른 원인으로 토사가 퇴적이 됩니다. 이과정에서 지층 중간에 같혀 화석이 되는 것입니다. 이때 그 당시 환경을 알 수 있는 화석을 시상화석이라고 하고 연대를 알 수 없는 화석을 표준화석이라고 합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아치 형태는 위쪽이 얇은데도 어떻게 무거운 질량을 버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아치의 돌덩이들은 서로가 쐐기가 되어 서로 물려있는 형상입니다. 위에서 화살표와 같이 아래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힘은 돌덩이들로 전달되는데, 맨윗돌은 그 아랫돌은 그 아랫돌은 또 그 아랫돌 누르는 식으로 힘이 전달됩니다. 돌은 누르는 힘(공학에서는 압축력이라고 합니다)을 견디는 데는 탁월합니다. 하지만 당기는 힘(인장력)에는 생각보다 약한데 아치에서는 위 그림에서와 같이 모든 돌덩이들이 압축력만 받게 되어있기 때문에 튼튼한 다리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노트북의 베터리는 시간이 지날 수록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드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극제와 음극제가 더이상 화학반응을 못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내부에는 화학물질이 가루형태로 존재하고 있고 이것을 고정시켜 놓았습니다. 오래 동안 충·방전을 하게 되면 조금씩 떨어져나가게 됩니다. 이 확학 물질이 떨어진 만큼 용량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일교차가 크면 식물이 잘 자란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가 높으면 호흡량도 늘어나기 때문에 소비되어야 하는 에너지가 많게 됩니다. 그래서 광합성이 거의없는 밤의 경우 온도가 죽지 않을 정도로 낮은 것이 생장에 도움이 됩니다.낮의 경우도 광합성이 최대효율이 이루어져 있다면 그 온도에서 유지되는 것이 생장에 더 도움이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 중에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열대우림에 사는 수많은 생명체 중에서도 나를 가장 전율케 한 것은 흙에서 싹이 터 올라오는 작은 꽃이었다. 이 식물은 키가 커피 잔 높이 정도 밖에 안 되고,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부러질 것 같이 연약하며 창백한 꽃자루 끝에 밝은 파란색 꽃이 핀다. 정글에 서식하는 용담속 식물이 보이리아(Voyria)인데, 이 꽃은 아주 오래전에 광합성 능력을 잃어버렸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은 낮에 호흡은 하지 않고 광합성만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은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적극적인 호흡 운동을 합니다. 이 호흡 운동을 통해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냅니다.식물도 동물과 마찬가지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 탄소를 내보내는 호흡을 합니다. 다만 식물의 호흡은 잎의 기공을 통해 이루어지며 적극적인 호흡 운동이 관찰되지는 않습니다.식물의 호흡이 낮과 밤을 구분하지 않고 항상 하는 것과 달리, 식물의 광합성은 빛에너지가 충분한 경우에만 가능합니다.식물은 호흡으로 발생한 이산화 탄소를 광합성에 이용할 수 있고, 광합성으로 생성된 산소를 호흡에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예를 들면, 빛이 강한 낮에는 호흡보다 광합성을 더 많이 합니다. 이때 식물은 부족한 이산화 탄소를 기공으로 흡수하고 남는 산소를 밖으로 내보내기 때문에 광합성만 하는 것처럼 보입니다.그러나 밤이 되면 식물은 광합성을 하지 않고 호흡만 하므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 탄소를 방출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어떻게 소나무는 사계절 내내 같은 색을 띠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소나무가 겨울에도 잎을 푸르게 유지할수있는 이유는 잎의 표면적이 작아서 잎을 유지하는 에너지가 적게 소모되어 겨울에도 푸르게 유지될수 있다고 합니다.또한 수분을 내보내는 것이 작습니다. 그래서 겨울에 견딜 수 있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자석을 둘로 쪼개어도 N극S극으로 나뉘는 이유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원자의 외부에 돌고 있는 전자는 전류가 하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기 때문에 원자 하나하나가 자석처럼 자기장이 만들어집니다.따라서 모든 물질은 원자 자석의 뭉쳐있는 것과 같습니다.무작위로 섞여 있는 것들은 서로 상쇄되어 자석이 되지 못하지만,한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는 것들은 자석이 됩니다.(NS)를 원자 하나의 자석이라고 할 때,자 석 : (NS)(NS)(NS)(NS)(NS)(NS)(NS)(NS)(NS)(NS)(NS)(NS)둘로 쪼갠 자석 : (NS)(NS)(NS)(NS)(NS) (NS)(NS)(NS)(NS)(NS)(NS)(NS)셋으로 쪼갠 자석 : (NS)(NS)(NS) (NS)(NS)(NS) (NS)(NS)(NS)(NS)몇개로 쪼개던지 원자 1개가 남을 때까지는 양끝이 N극과 S극을 띠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카르만 라인이라는것이 있던데 간단하게 설명해 주실 분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정거장에서 바라본 지구 (사진출처: NASA) 사진을 보면 밝게 빛나는 얇은 대기층과 오로라가 보인다. 저 얇은 지구 대기층과 우주 공간이 구분되는 지점을 ‘카르만(Karman) 라인’이라고 부른다.공기가 희박해질수록 비행체의 양력 또한 약해져, 어느 이상의 고도에서는 더 이상 날개로 비행할 수 없게된다. 당시의 계산으로는 대략 고도 100km지점으로, 이 정도 높이가 되면 공기의 밀도는 지상보다 약 2백만분의 1로 희박해진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비 올때 50m이내 거리를 뛸때와 걸을때 옷이 젖는 정도차이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50미터를 걸을 때와 뛸 경우 ..뛸 경우에 덜 맞습니다. 왜냐하면 비 맞는 시간이 그만큼 적어지니까요.그런데 아마 뛰는 사람과 걷는 사람이 모두 같은 시간대를 비 맞는 다면 아마도 같은 양을 맞을 거라 생각됩니다.
2462472482492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