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티비는 어떻게 색깔을 구현할수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각 픽셀별로 디스플레이 색 표현은 R, G, B 로 표현되며, 각각의 R, G, B 신호세기에 따라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이 3가지 빛이 같은 세기로 모이면 흰색 빛이 되며, 모두 방출되지 않는다면, 아무런 빛이 존재하지 않는 검정이 됩니다.이 R, G, B 를 각각 8비트로 표현함으로써 밝기 세기를 256 가지로 세분화한다면, 이론적으로 256 x 256 x 256 = 16,777,216 가지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유럽사람의 피부가 하얀 이유?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비타민 D는 간, 우유 및 유제품, 버섯 등의 식품을 통해서 흡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피부를 통해서 직접 만들어진다. 우리의 피부 세포는 자외선을 이용해 콜레스테롤을 변형시켜 비타민 D를 만드는 놀라운 재주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자외선은 비타민 D를 만드는 데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긴 하지만 그 자체가 DNA 파괴자이므로 우리의 몸은 멜라닌을 통해 자외선을 적절하게 걸러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일조량이 풍부한 저위도 지역에서는 멜라닌을 통해 자외선의 대부분을 걸러내도 비타민 D를 합성하는 데 필요한 양을 얻는 것은 큰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인류가 고위도 지역까지 올라가기 시작하자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다. 고위도 지역에는 일조량이 적어 자외선 조사량 자체가 적기 때문에 짙은 색의 피부가 걸러내는 미량의 자외선만으로는 충분한 양의 비타민 D를 합성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지역에 사는 경우에는 탈색 유전자가 작동해 피부색을 옅게 만들고 자외선 필터링을 줄여주는 것이 생존해 유리한 형질이 됐을 것이다. 그렇게 피부가 흰 사람들이 북부 유럽에 등장하게 된 이 시기가 약 8000년 전경이었다. 하지만 그때까지도 흰 피부의 사람들은 북부 유럽에 한정돼 있으며 이베리아 반도와 유럽 중앙에 살던 사람들의 피부는 여전히 짙은 색이었다. 흰 피부는 일조량이 부족한 곳에서 비타민 D를 공급하기 위한 궁여지책이었을 뿐 그 자체가 유리한 건 아니었기 때문이다. 흰 피부의 사람들이 늘어나게 된 계기에는 엉뚱하게도 우유와 관계가 있다. 원래 인간은 어른이 되면 우유 속에 든 유당을 분해하는 능력이 사라진다. 유당을 분해하는 유당분해유전자는 젖을 떼고 난 이후 활동을 정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약 6000여 년 전부터 목축과 낙농을 주로 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유당분해유전자의 활성이 꺼지지 않는 돌연변이 종족들이 생겨나게 됐다. 이들은 우유를 소화시킬 수 있게 되면서 덤으로 우유 속에 풍부하게 든 칼슘과 비타민 D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 시작했다. 특히나 목축과 낙농은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고 건조한 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이들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흰 피부를 가진 경우가 많았다. 우유 속에 풍부한 칼슘과 비타민 D 덕분에 이들의 뼈가 제대로 성장하며 충실도가 높아졌고 이를 계기로 이들은 점차 세력권을 넓혀 나가게 됐다. 고대 유럽인들의 몸속에서 탈색유전자와 유당분해유전자, 키성장유전자군이 함께 선택된 건 이런 복합적이 환경과의 상호작용 때문이었다. 근대의 문화적 환경 속에서는 소위 ‘우월한 인자’로 간주됐던 유럽인의 흰 피부가 사실 햇빛이 부족한 지역에서 뼈가 굽지 않고 살아가기 위해 몸부림쳤던 고대인들의 유전적 궁여지책일 뿐이었다. 피부색으로 사람을 가르고 차별하는 것이 얼마나 무의미하고 부당한 행위인지를 알리는 것, 그것 역시도 과학의 역할인 것이다.